철도노조, 5일 무기한 파업 돌입
퇴근 시간대 혼잡 예상
“비상계엄 이슈로 분위기가 어수선한데, 파업까지 한다고 해 마음 한편이 착잡하다”
경제 침체 속에서 계엄령 사태에 이어 철도 파업까지 겹치며 시민들의 불안감이 커지고 있다.
5일 철도노조가 무기한 파업에 돌입한 가운데, 퇴근길 대혼잡을 우려하는 목소리가 높아지고 있다.
철도노조, 예고대로 무기한 파업 돌입
전국철도노동조합이 임금인상과 체불임금 해결, 성과급 정상화 등을 요구하며 5일 오전 9시부터 무기한 파업에 들어갔다.
이날 아침 출근길은 비교적 평온했지만, 파업이 본격화되는 퇴근 시간대부터는 큰 혼란이 예상된다.
한 시민은 “오송역에서 서울로 올라올 때는 괜찮았는데 업무를 마치고 세종으로 복귀할 때가 걱정”이라며 “퇴근 시간 KTX 좌석이 거의 매진이라 고민”이라고 토로했다.
국토교통부는 이번 파업으로 광역전철은 평소의 76%, KTX는 67% 수준으로 운행될 것이라고 밝혔다.
SRT를 포함하면 KTX 운행률은 75% 수준을 유지할 것으로 예상되며, 전체 열차의 평균 운행률은 평소의 70.1%가 목표다.
코레일, 철도 안전 확보 나서
코레일은 24시간 비상수송대책본부를 가동하고 평시 인력의 60% 수준인 총 1만 4861명을 투입해 철도 안전 확보에 나섰다.
특히 이용객이 많은 KTX와 출퇴근 시간대 수도권 전철을 중심으로 열차 운행 횟수를 최대한 확보한다는 계획이다.
수도권 주요 역사에서는 이날 오전 “철도 노조 파업으로 열차 운행에 지장이 생길 수 있으니 양해를 부탁드린다”는 안내 방송이 울려 퍼졌다.
성남시 분당구 수인분당선 야탑역의 한 70대 시민은 “철도 파업 때문에 사람들이 많이 몰릴까 걱정됐는데 출근길은 한산해 다행”이라면서도 “앞으로 계속 지하철로 출퇴근해야 하는데 큰 차질은 없었으면 좋겠다”고 말했다.
지방 주요 도시의 기차역도 비교적 평온한 모습을 보였는데, 호남권의 광주송정역과 익산역, 경부선의 동대구역과 부산역 등은 일상과 크게 다르지 않았다.
다만 호남선과 전라선 열차는 기존의 63.1%만 운행되며, 화물열차는 22% 수준으로 운행될 예정이다.
코레일은 모바일 앱 ‘코레일톡’과 홈페이지, 역 안내방송, 여객 안내 시스템 등을 통해 실시간으로 열차 운행 정보를 제공하고 있다.
코레일톡과 홈페이지에서 조회되지 않는 열차는 운행이 중지된 것으로, 대상 열차 목록은 홈페이지 공지사항에서 확인할 수 있다.
철도 노조도 공산주의 좌파들이 장악하고 명분도 시민공감도 없이 노조집행부가 파업주도했지?
직장이 맘에 안들면 그만두지^^월급 올리면 다른 물가 오르잖아.취직 못한 젊은이에게 자리 양보하라.좌파가 문제지???
밑에는 돈주고 댓글쓰게하나 세계적인 망신인데 ㅠ 경제를 살려야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