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들, 어떡하려고 이래”… 막막한 상황에 속 타는 5060, 대체 왜

취업 의지도 교육도 포기한 청년들
쉬었음 인구, 1년 새 25% 폭증
비자발적 이탈, 장기화가 더 큰 위험
청년
니트 청년 증가 / 출처 : 연합뉴스

“더는 일자리를 찾지 않아요. 그냥 쉬고만 있네요.”

이 말은 단순한 청년 개인의 고백이 아니다. 한국 사회가 직면한 청년 고용 현실을 상징하는 말이다.

일하지 않고, 구직도 하지 않으며, 교육이나 훈련에도 참여하지 않는 이른바 ‘니트(NEET)’ 청년이 빠르게 늘고 있다.

지금 이대로라면, 일본처럼 이 문제가 세대를 넘어 고착화될 가능성도 적지 않다.

줄지 않는 니트 비중, 한국만 유일한 역주행

한국고용정보원이 25일 발표한 보고서에 따르면, 2022년 기준 국내 청년 니트 비율은 18.3%로 OECD 평균보다 5.7%포인트 높았다.

청년
니트 청년 증가 / 출처 : 연합뉴스

이는 조사 대상 11개국 중 유일하게 2014년보다 비중이 증가한 사례다. 특히 20대 후반 남성 대졸자의 니트 비중은 23%에 달했다.

취업보다 장기 준비를 택한 남성과, 단기직으로 빠르게 진입하는 여성이 엇갈리는 경향도 뚜렷해졌다.

문제는 이 상태가 지속될수록 노동시장 진입 자체가 어려워진다는 점이다.

고용 통계에서 ‘쉬었음’으로 분류되는 청년층은 구직 의사 없이 경제활동을 포기한 이들이다.

한국은행에 따르면, 이 인구는 2023년 3분기 33만 6000명에서 2024년 3분기 42만 2000명으로 25.4%나 폭증했다.

그중 71.8%는 본인의 의지와 무관하게 일자리를 떠났고, 대부분은 한 번쯤 취업 경험이 있는 청년이었다.

청년 취업난
니트 청년 증가 / 출처 : 연합뉴스

한국경영자총협회는 “원하는 일자리를 찾지 못한 채 노동시장과 단절되는 흐름이 지속될 경우, 이들이 다시 돌아오긴 더 어려워질 것”이라며 우려를 드러냈다.

실제로 실업 기간이 길어질수록 재취업 가능성은 현저히 낮아지고, ‘낙인 효과’로 구조적 문제가 되는 경우도 많다.

일본은 어떻게 됐나…청년 니트가 중년 니트로

한국이 지금의 상황을 방치한다면, 2000년대 초반 일본이 겪은 문제와 다르지 않은 전철을 밟게 될 수 있다.

일본은 당시 늘어난 니트족이 20여 년이 흐른 지금까지도 사회 복귀에 어려움을 겪고 있으며, 이들이 40~50대 중년 니트로 이어지는 장기화 현상이 나타나고 있다.

일본 정부는 자립지원 정책을 시행했지만 중장기적 성과는 미비했다. 핵심 연령층까지 문제 해결이 미뤄진 지금, 정책 대상 연령도 49세까지 확대된 상태다.

쉬었음 청년
니트 청년 증가 / 출처 : 연합뉴스

보고서는 이를 교훈 삼아 한국도 당장의 통계 수치보다 ‘니트의 장기화’를 막기 위한 개입이 절실하다고 강조했다.

니트 문제는 개인의 의지 부족이 아닌 사회 구조의 문제다. 심리적 회복 탄력성, 실효성 있는 직무훈련, 사회적 인식 개선이 함께 이뤄져야만 이들이 다시 ‘일터’로 돌아올 수 있다.

지금 필요한 건 꾸짖음이 아니라, 돌아올 수 있는 길이다.

Copyright ⓒ 이콘밍글.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금지

48

  1. 애들을 한 두명 낳아서 왕자와 공주로 키워놓으니 세상에 적응을 못하는 건데, 누굴 탓하겠습니까?

  2. 그냥 두세요 거지를 경험해봐야 일하는 즐거움을 압니다 거지 나라 국민으로 다른 나라들의 질시와 모멸을 겪어야 합니다 지금 일하지 않으려는 젊은이들은

  3. 이러니까 그지새ㄲ들 배급견이나 할려고 죄명이 뽑았네
    나라 꼬라지 ㅈ박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