은행 업무 보기도 힘든 지방,
이제는 주담대 규제도 조여야 한다
서울에서 살던 A 씨는 최근 지방으로 내려와 생활하고 있다.
서울보다 집값도 훨씬 싸고, 매일 출퇴근 시간마다 겪던 교통난도 해결되어 전체적으로 만족스럽게 생활하고 있지만, 불편함도 크다는 A 씨.
무엇보다 인프라 부족이 큰 문제지만, 가장 불편한 부분은 따로 있다. 바로 은행 업무다.
서울에서 살 때는 어딜 가든 은행과 ATM을 쉽게 찾을 수 있었는데, 지방에서는 그것도 쉽지 않기 때문이다.
이처럼 인구가 줄어드는 지역에서 시중은행의 금융 접근성이 낮아지고 있다.
최근 공개된 자료에 따르면 신한·하나·우리은행 등 주요 시중은행이 인구 감소 지역에서 운영하는 점포 비율은 20% 이하로 떨어졌으며, ATM도 2019년 대비 23% 감소했다.
특히 KB국민은행의 경우, 89개 인구 감소 지역 중 32개 지역에서만 점포를 운영하며, ATM 대수도 40% 가까이 줄였다.
한 금융권 관계자는 “금융 접근성이 낮은 지역은 거주 매력이 떨어져 결국 지역 경제 활성화에도 부정적 영향을 미칠 수 있다”고 우려했다.
이름 바꾸고 외국인 고객도 찾았지만… 지방은행 ‘한숨’
이에 지방은행들은 공백을 메우기 위한 다양한 전략을 구사하고 있다.
BNK경남은행은 최근 울산 지역의 요구를 반영해 ‘BNK울산·경남은행’이라는 이름으로 영업을 이어가고 있으며, iM뱅크(구 DGB대구은행) 역시 대구 지역에서는 여전히 ‘DGB대구은행’이라는 간판을 사용하고 있다.
또한, 외국인 근로자 대상 신용대출 상품을 출시하는 등 외국인 고객 확보에도 적극적이다.
경남은행은 외국인 근로자 전용 대출 상품 ‘K드림 외국인 신용대출’을 출시하고, 부산은행은 외국어 화상 상담 서비스와 특화 창구를 마련해 외국인 고객의 편의를 도모하고 있다.
그러나 최근에는 또 다른 장애물을 만났다. 바로 주택담보대출 금리 인상이다.
지방은행들은 정부의 대출 규제 강화로 주택담보대출(주담대) 금리를 인상해야 하는 상황이다.
하지만 대출 수요가 상대적으로 낮은 지방에서는 이러한 금리 인상이 오히려 영업에 부담으로 작용하고 있다.
특히 주담대 잔액이 대출 수요가 높은 수도권 대비 미미한 수준이어서 지방은행 입장에서는 대출 수익을 확보하기가 쉽지 않다.
한 지방은행 관계자는 “주담대 금리 인상은 수요 증가를 막기 위한 조치지만, 지방은행으로서는 실질적으로 큰 효과를 거두기 어려운 상황”이라고 털어놓았다.
이어서 “지역 고객과의 유대를 강화하면서도 당국 방침에 맞는 새로운 대안을 찾는 노력이 절실하다”고 강조했다.
전쟁나면 수도권은 폭삭한단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