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은 줄이고 월급은 그대로 받는다
법안 준비하며 전국 확산 예고

“진짜로 이게 된다고요?”, “빨리 우리 회사에도 도입되면 좋겠어요.”
출근을 줄이는데 월급은 그대로 받는다는 얘기에 직장인들은 기대와 의심을 동시에 드러냈다.
경기도가 전국 최초로 주 4.5일 근무제를 도입하며 실험에 나섰고, 정부도 본격적으로 법안 마련에 착수하면서 ‘짧게 일하고, 삶은 더 여유롭게’라는 새로운 일터 풍경이 가시화되고 있다.
번아웃을 경험한 직장인이 무려 93%에 달하고, 하루 여가시간도 OECD 최하위권에 머무는 현실 속에서, 한국 직장인들은 주 4.5일제를 ‘과로 사회’ 탈출의 돌파구로 주목하고 있다.
경기도 68개 기업 참여…일 줄이되 임금은 유지

경기도는 지난 19일 ‘주 4.5일제’ 시범사업을 공식 출범시켰다. 수원에서 열린 협약식에는 IT, 제조업, 언론사 등 다양한 업종의 기업 67곳과 공공기관인 경기콘텐츠진흥원이 참여했다.
기업들은 각자의 상황에 맞춰 자율적으로 근무제를 설계해 운영하게 되며, 요일 자율 선택제, 주 35시간제, 격주 4일제 등도 가능하도록 열어뒀다.
가장 주목할 만한 지점은 ‘임금 보전’이다. 출근은 줄어도 급여는 줄지 않는다. 경기도는 노동자 1인당 월 최대 26만 원의 장려금을 지원하고, 기업당 최대 2000만 원 상당의 컨설팅과 근태관리 시스템 구축비를 제공하기로 했다.
시범사업은 올해부터 2027년까지 한시적으로 진행되며, 44개 세부 지표를 통해 생산성과 만족도를 체계적으로 분석할 계획이다. 분석 결과는 향후 전국 확대 논의의 기초자료로 활용된다.
이 같은 흐름에 발맞춰 정부도 움직이고 있다. 고용노동부는 이재명 대통령의 대선 공약인 ‘주 4.5일제’ 실행 계획을 국정기획위원회에 보고했다.

핵심은 법정 근로시간을 기존 주 52시간에서 48시간으로 4시간 줄이는 방향이다. 정부는 이를 위해 ‘실근로시간 단축 지원법(가칭)’을 올해 하반기까지 마련할 계획이다.
직장인 10명 중 9명 주4일제 “찬성”…하지만 우려도 있다
한편, 커리어 플랫폼 사람인이 지난 2024년 직장인 3576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설문조사에 따르면, 86.7%가 ‘주 4일제’에 긍정적이라고 답했다.
워라밸 향상을 기대한 응답이 80.3%로 가장 많았고, 재충전으로 인한 업무 효율 증가(64.8%), 건강관리(44.6%)도 기대 요인으로 꼽혔다.
그러나 마냥 긍정적인 평가만 있는 것은 아니다. 응답자의 13.3%는 주 4일제에 회의적인 입장을 보였다.

이들은 임금이 줄어들 것 같다는 이유를 가장 많이 꼽았고, 이어서 줄어든 시간이 아닌 더 높은 업무 강도에 대한 걱정, 그리고 기업 경쟁력 약화 가능성 등을 언급했다.
일부 직종에서는 제도 적용 자체가 현실적으로 어렵다는 점도 지적됐다.
정부와 지방자치단체, 그리고 민간기업이 함께 만드는 ‘주 4.5일제’의 실험은 이제 막 출발선에 섰다. 근무제도의 변화가 새로운 일상으로 정착할 수 있을지 주목된다.
빨갱이 국가 전복이 목적이지
0.5 시간 어차피 해야될일. 하지만 좋타는 ㅎ
ㅇ시간이 많으면 놀러가고 지출도 많아지고 가정경제에 무슨 이익이 있나요?
오너들이 당장 때려치우고말지.. 미쳤냐?
사업장 폐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