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시, 90% 이상 충전된 전기차
공동주택 주차장에 출입제한 추진
현대차그룹, 과충전 화재 ‘0건’
서울시가 지난달 9일 아파트 등 공동주택 지하주차장에 90% 넘게 충전된 전기차의 출입을 제한하는 정책을 추진하겠다고 밝혔다.
이에 현대차그룹은 전기차 안전을 책임지는 핵심 기술인 ‘배터리 관리 시스템’을 지난 15일 공개했다.
서울시 “과도한 충전이 화재 원인으로 지목”
최근 아파트 등에서 전기차 화재가 연이어 발생하면서 서울시가 시민들의 불안감 해소를 위해 공동주택 지하주차장에 과충전되 전기차의 출입을 제한하는 정책을 추진하기로 했다.
서울시는 아파트 등 공동주택 지하주차장에 90% 이하로 충전을 제한한 전기차만 들어갈 수 있도록 권고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특히, 서울시는 전기차 배터리 성능 유지와 화재 예방을 위해 충전율을 제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는 전문가들 의견에 따라 정책을 추진하기로 했다.
우선 이번 달 말까지 공동주택 관리규약 개정을 통해 90% 이하로 충전을 제한한 전기차만 출입할 수 있도록 권고하기로 했다.
이에 더해 이번 달부터 공영주차장 등 공공시설 내 시가 운영하는 급속충전기에 ‘80% 충전 제한’을 적용하고 향후 민간 사업자 급속충전기로 확대할 계획이다.
또한, 전기차 제조사들과 주차 중인 차량의 배터리 상태를 실시간으로 모니터링하고, 이상징후 발생 시 즉각 대응하는 시스템을 구축하는 방안도 검토 중이다.
아울러 공동주택에 설치된 전기차 충전시설에 대한 화재안전관리 강화를 위해 화재안전조사 등 점검도 강화할 방침이다.
서울소방재난본부는 전기차 충전시설이 설치된 서울시내 공동주택에 대해 스프링클러설비 등 소방시설 점검 등을 이달 말까지 긴급 점검할 예정이다.
현대차그룹 “전기차 화재는 배터리 충전율과 관계없어”
최근 전기차에 대한 국내 소비자들의 불안감이 커지는 상황에서 현대차그룹은 전기차 안전을 책임지는 ‘배터리 관리 시스템(Battery Management System)’을 공개했다.
현대차그룹이 공개한 BMS는 배터리를 전체적으로 관리·보호하는 역할과 동시에 전기차가 배터리를 사용하는 데 필요한 제어 정보를 제공하는 역할을 맡는다.
이 중 ‘배터리 시스템 모니터링’ 기능은 배터리 이상 징후를 탐지하면 즉각 위험도를 판정 및 차량 안전 제어 기능을 수행해 배터리가 안정적으로 작동할 수 있게 해준다.
여기에 더해 BMS는 배터리 과충전을 3단계에 걸쳐 방지하는 역할도 한다.
이 밖에도 현대차그룹은 배터리 화재를 지연시키는 다양하고 탁월한 기술도 보유했다고 밝혔다.
또한, 현대차그룹은 “현재까지 자사 전기차 중 과충전에 따른 화재는 한 건도 없었다”며 “과충전에 의한 문제 가능성은 0%에 가깝다”고 밝혔다.
안삼
그 전문가라는 인간이 전기자동차 발전을 퇴행시키는 김필수냐
문재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