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GM, 첫 전기 픽업트럭 ‘무쏘 EV’ 공개 임박

전기 픽업트럭 시장이 새로운 국면을 맞이하고 있다. KGM이 전기 픽업트럭 ‘무쏘 EV’의 사전예약을 2월 중 개시할 예정이며, 특히 최대 1350만 원에 달하는 보조금 혜택이 예상되면서 경쟁 업체들이 긴장하는 분위기다.
무쏘 EV는 토레스 EVX를 기반으로 개발된 모델로, 전기화물차로 분류될 가능성이 높아 세제 혜택과 유지비 절감이 기대된다.
무쏘 EV, 전기화물차 분류 시 보조금 최대 1350만 원
무쏘 EV는 207마력의 전륜구동 싱글 전기모터와 80.6kWh LFP 배터리팩을 탑재하며, 복합 주행거리 401km(도심 435km, 고속 359km)를 인증받았다.
토레스 EVX(433km)와 비교하면 배터리 용량이 증가했으나, 중량 증가와 공기저항 등의 요인으로 인해 주행거리는 소폭 감소했다.

하지만 가장 큰 매력은 전기화물차로 분류될 가능성이다. 만약 확정된다면 최대 1350만 원의 보조금을 받을 수 있으며 개인사업자는 부가세 10% 환급도 가능하다.
연간 자동차세도 2.8만 원으로, 일반 전기 승용차(연 13만 원)보다 부담이 적다. 취득세 역시 최대 140만 원 감면될 것으로 예상된다.
이러한 혜택이 확정될 경우, 전기 픽업트럭은 기존 내연기관 픽업트럭 대비 압도적인 유지비 절감 효과를 제공하게 된다. 이는 경쟁사들의 시장 전략에도 영향을 줄 가능성이 크다.
실용성 강화한 전기 픽업트럭
KGM은 무쏘 스포츠, 액티언 스포츠, 코란도 스포츠, 렉스턴 스포츠 등 픽업트럭 시장에서 오랜 경험을 보유하고 있다. 무쏘 EV는 이러한 계보를 잇는 모델로, 실용성과 전동화 기술을 접목한 것이 특징이다.

토레스 EVX 플랫폼을 공유하면서도 픽업트럭 특유의 적재 공간을 갖춘 것이 차별점이다. 또한, KGM 특유의 강한 차체 설계와 견인력이 반영돼, 오프로드 성능과 내구성에서도 경쟁력을 가질 것으로 보인다.
게다가 전기차 특유의 저소음, 저진동 덕분에 도심 주행에서도 강점을 발휘할 전망이다.

무쏘 EV는 MX 단일 트림으로 출시될 예정이며 다양한 옵션 패키지를 제공해 소비자 선택권을 넓힌다.
스타일링 패키지(무선 충전기, 유틸리티 루프랙), 컨비니언스 패키지(조수석 파워시트, 2열 히팅시트), 블랙엣지 패키지(가죽시트, 블랙 디테일) 등 추가 옵션을 통해 개성을 살릴 수 있다.
기본 사양으로는 히트펌프, 배터리 열관리 시스템, V2L 기능, 17인치 휠, LED 헤드램프, 열선 스티어링 휠, 1열 통풍시트, 어댑티브 크루즈컨트롤 등이 포함될 예정이다.
경쟁사들 ‘비상’… 전기 픽업트럭 시장 판도 변화할까?
무쏘 EV의 등장으로 경쟁사들은 긴장하고 있다. 현재 국내 시장에서 전기 픽업트럭의 선택지가 극히 제한적인 상황에서, 무쏘 EV는 가격 경쟁력과 경제성을 동시에 갖춘 모델로 평가받고 있다.
포터2 전기트럭(58.8kWh 배터리, 211km 주행거리)이 기존 시장을 형성하고 있지만, 무쏘 EV는 더 큰 배터리 용량과 긴 주행거리를 제공하면서도 화물차 혜택을 받을 가능성이 높아 실질적인 경쟁력이 더욱 부각된다.
또한, 2025년 서울시 기준 보조금이 전기승용차 최대 630만 원, 전기화물차 최대 1350만 원으로 차이가 나기 때문에, 소비자들은 픽업트럭 형태의 전기화물차를 더 선호할 가능성이 높아지고 있다. 이는 향후 전기 픽업트럭 시장의 확대를 촉진할 수도 있다.

무쏘 EV의 공식적인 사전예약은 2월 25일 시작될 가능성이 높으며, 세부 사양과 가격 역시 이 시기에 확정될 것으로 예상된다. 과연 KGM의 신차가 전기 픽업트럭 시장의 판도를 흔들 수 있을지, 업계의 관심이 집중되고 있다.
딱 다마스 라보 용달이네~ 전기차 중고가 방어가 힘든만큼 보조금 받고 깡통기준 2천정도면 살만함 3천 4천이면 안삼~
사이즈가.문제네 국내는 무조건 큰것을 선호 하는데 F150,이나 라이트닝 사이즈에 보조금해택에 3천대면 히트 데.히트 2%부족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