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4년 만에 내놓은 신차로 화제였던 르노코리아의 ‘그랑 콜레오스’가 예상치 못한 성공을 거두고 있다. 손가락 논란으로 회의적인 시선이 생겼음에도 불구하고, 출시 첫 달부터 판매량이 급증하며 소비자들의 마음을 사로잡은 것이다.
르노코리아는 지난 9월 국내외 시장에서 총 8,625대를 판매하며 작년 동월 대비 5.3% 감소한 수치를 기록했다. 하지만 국내 내수 시장에서만큼은 기대 이상의 성과를 보였다.
특히 신형 스포츠유틸리티차(SUV) ‘뉴 르노 그랑 콜레오스’가 내수 판매량의 77.8%를 차지하며 3,900대가 판매된 것. 그 결과, 르노코리아의 국내 판매는 작년 같은 달 대비 203.5% 급증하며 5,010대에 달했다.

그랑 콜레오스는 하이브리드 모델로만 3,900대가 팔리며 하이브리드 시장에서 강한 입지를 다졌다. 르노코리아는 그랑 콜레오스의 성공 비결로 하이브리드 모델을 우선적으로 내놓고, 국내 소비자들의 수요에 맞춘 맞춤형 전략을 꼽았다.
신차 효과도 확실하게 작용했다. 르노코리아는 그랑 콜레오스 출시 이후 집중적인 마케팅과 생산으로 초기에 소비자들의 이목을 끌었다.
특히 국내 자동차 시장에서 현대차와 기아의 강세가 뚜렷한 상황에서 르노코리아의 중형 SUV 그랑 콜레오스가 두각을 드러낸 것은 놀라운 일이다.
노조 파업으로 생산 차질 불가피
하지만 이와 같은 흥행 뒤에는 르노코리아가 직면한 어려움도 있다. 르노코리아는 지난 9월 13일 노조의 전면 파업으로 인해 생산 차질이 불가피해졌다. 이에 따라 수출 실적은 전년 동기 대비 51.5% 감소한 3,615대에 그쳤다.

아르카나의 수출량은 46.7%, QM6는 81.8%가 급감하며 해외 판매에 큰 타격을 입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르노코리아는 그랑 콜레오스 생산에 집중하며 내수 시장에서는 선전했다는 점이 주목할 만하다.
그랑 콜레오스의 여정이 순탄치만은 않았다. 출시 직후 홍보 영상에서 발생한 ‘남혐 논란’으로 인해 일부 소비자들의 반발이 있었고, 사전 계약 취소 사태까지 이어졌다. 프랑스 본사로까지 항의가 전달되며 회사는 즉각 사과문을 발표했지만, 이 사건은 그랑 콜레오스의 초기 마케팅에 적지 않은 타격을 주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업계 전문가들은 그랑 콜레오스의 흥행이 당분간 지속될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국내 중형 SUV 시장에서 하이브리드 모델에 대한 수요는 여전히 높고, 르노코리아가 이를 선도할 가능성이 크다는 분석이다.

KGM의 ‘액티언’ 역시 신차 효과를 누리며 선전하고 있지만, 단일 가솔린 모델로는 그랑 콜레오스와의 경쟁에서 다소 불리하다는 평가도 있다. KGM은 내년 하이브리드 모델을 추가로 출시하며 반격에 나설 계획이다.
르노코리아는 생산 차질을 최소화하기 위해 노사 간 협상을 이어가고 있으며, 조속한 타결을 위해 최선을 다하고 있다고 밝혔다. 그랑 콜레오스의 흥행이 계속될지, 혹은 파업 장기화가 큰 변수가 될지 귀추가 주목된다.
찌라시성 기사를 많이 올리네 르노한심 ㅎ
당연한거디 차가 좋으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