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배 넘게 뛴 한국차 판매량
일본 소비자 마음 사로잡은 이유
‘캐스퍼 일렉트릭’ 돌풍 배경은

현대자동차가 한때 철수했던 일본 시장에서 다시 존재감을 드러내고 있다. 불과 1년 전까지만 해도 미미했던 판매 실적이, 최근 들어 4배 이상 폭등하며 반전을 이뤄낸 것이다.
결정적인 전환점은 작고 실용적인 전기차 ‘인스터’(국내명 캐스퍼 일렉트릭)의 등장이다.
일본 도심형 소비자들에게 적합한 디자인과 주행거리, 그리고 가격 경쟁력을 갖춘 이 모델이 소비자 마음을 사로잡으며 현대차의 부활을 이끌고 있다.
인스터가 바꾼 판도… 408% 증가
현지시간 6월 9일, 일본자동차수입조합(JAIA)이 발표한 자료에 따르면 현대모빌리티재팬(HMJ)은 지난 5월 일본 시장에서 총 94대를 판매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전년 동월 23대와 비교해 무려 408.7% 증가한 수치다.

1~5월 누적 판매량은 308대, 전체 시장 점유율은 0.22%로 집계됐다. 전년 동기 대비로는 12.8% 감소한 수치지만, 4월부터 회복세가 뚜렷하다.
실제로 올해 1월 41대, 2월 40대, 3월 51대에 머물렀던 판매량은 4월 들어 84대로 증가했고 5월에는 그보다 더 상승했다.
판매 반등의 중심에는 인스터가 있다. 일본 시장에 4월 출시된 이 소형 전기 SUV는 도시형 라이프스타일에 최적화된 크기와 기능, 그리고 가격 덕분에 일본 소비자들에게 강한 인상을 남겼다는 평가다.

가격·주행거리, 경쟁 모델 압도
현지 출시가 284만 9000엔(한화 약 2690만 원)인 인스터는 일본 시장에서 경쟁 중인 닛산 리프(408만엔, 약 3850만 원), BYD 돌핀(363만엔, 약 3460만 원)보다 훨씬 저렴하다. 가격 메리지가 뚜렷한 것이다.
여기에 주행거리까지 강점으로 작용한다. 인스터는 1회 충전으로 약 458km를 달릴 수 있다.
닛산의 경형 전기차 ‘사쿠라’의 180km와 비교하면 약 2.5배 수준이다. 단순한 경차가 아닌, 실용성을 갖춘 전기 SUV로서 일본 시장에서의 경쟁력이 충분하다는 평가다.

이커머스 공략·사전예약 400건
현대차는 차량 스펙만으로 일본 시장 공략에 나서지 않았다. 다양한 플랫폼을 통해 소비자 접점을 넓히는 전략을 병행했다. 대표적인 사례가 일본 최대 이커머스 플랫폼 ‘라쿠텐’과의 협업이다.
완성차 업계 최초로 라쿠텐을 통해 차량을 판매한 현대차는, 마케팅 측면에서도 과감한 행보를 보였다.
현대모빌리티재팬의 시메기 토시유키 사장이 직접 방송에 출연해 차량을 소개했고, 이 방송의 누적 시청자 수는 6만명에 달했다. 사전예약 건수는 400대를 기록했다.

현대차는 인스터를 앞세워 5년 이내에 일본 연간 6000대 판매를 목표로 하고 있으며 올해 안에는 1500대 달성을 계획하고 있다.
지금의 상승세가 이어질 경우 과거 실패를 반복하지 않고 ‘성공적인 재진입’으로 평가받을 수 있을 전망이다.
일본차 좋다..
짱개차보다 1000만원 더 싼차라니 존심을 내다 팔았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