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제 테슬라는 정말 흔들리고 있다
기술·가격·리더십까지 삼중 위기

사이버트럭은 오랫동안 테슬라를 대표하는 아이콘이었다. 전기차의 미래를 상징하는 디자인, 대담한 성능, 그리고 일론 머스크의 존재감까지 더해져 전 세계 소비자들에게 강렬한 인상을 남겼다.
그런데 이제 그 상징조차 흔들리고 있다. 중국에서 훨씬 저렴하고 기술적으로도 앞섰다는 신형 전기 픽업트럭이 등장하면서, 테슬라의 아성이 균열을 맞고 있다는 신호가 시장 곳곳에서 포착되고 있다.
기술도 가격도… 중국이 먼저 앞서가나
최근 광저우자동차(GAC)는 요토쇼에서 ‘픽업 01’이라는 전기 픽업트럭을 공개했다. 외관은 테슬라 사이버트럭을 연상케 하지만, 내부 시스템은 더 진보했다는 평가를 받는다.

조향을 기계 대신 전자신호로 제어하는 ‘스티어 바이 와이어’ 기술이 대표적이다.
여러 전자식 장비가 탑재된 이 차량의 가격은 단 4만 1000달러, 한화 약 5580만 원이다. 테슬라 사이버트럭의 시작가인 8290만 원보다 2700만 원 넘게 저렴하다.
GAC는 이 차량을 2027년부터 본격 생산하며, 호주, 사우디아라비아, 라틴아메리카 등 신흥 시장을 중심으로 판매를 시작할 계획이다.
기존 테슬라의 주력 무대였던 북미나 유럽과는 다른 방향의 접근이다. 여기에 BYD는 22종 차량의 가격을 최대 34%까지 인하했고, 샤오미는 테슬라 모델Y보다 빠르고 오래 달리는 SUV ‘YU7’을 새롭게 공개했다.

이런 상황에서 테슬라는 4월 중국 판매량이 전년 대비 6% 줄며, 7개월 연속 감소세를 이어갔다.
실적도 흔들리고, 리더십도 불안하다
이러한 시장의 변화는 테슬라 실적에도 고스란히 반영되고 있다. 테슬라는 올해 1분기 순이익이 작년보다 71% 급감했고, 주가는 연초 대비 23%나 하락했다.
이사회는 조용히 일론 머스크의 후임을 검토하고 있다는 보도도 나왔다. 머스크가 트럼프 행정부에서 정부효율부 수장을 맡으며 테슬라 경영에서 손을 놓았다는 비판이 쌓였기 때문이다.
특히 최근 머스크는 SNS에서 트럼프 대통령을 비판하고 탄핵까지 언급했으며, 관련 게시글 중 일부는 나중에 삭제됐다.

이후 머스크는 “지나쳤다”며 사과의 뜻을 내비쳤고, 백악관도 “머스크 관련 계약 해지는 추진되지 않고 있다”고 선을 그었다. 관계를 회복하는 분위기를 보였지만, 불안함은 여전하다.
테슬라는 한때 전기차 시장의 선두주자였지만, 현재는 기술, 가격, 리더십 측면에서 압박을 받고 있다. 특히 중국 시장에서의 부진은 경쟁력 약화의 신호로 해석된다.
상징적 모델이던 사이버트럭조차 비교 대상이 되면서 브랜드 우위도 흔들리고 있다. 반전을 위해서는 빠른 대응이 필요하다.
요즘 3류 찌라시언론(?)에서 중국 차광고가 엄청 많아 왜 그런지 알지? ㅋㅋ 진짜 작작해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