물가 상승에 국민 생활고 심화
저소득층 체감물가 더 심각
식료품·주거비 부담 특히 심각

“월급은 그대로인데 먹고살기가 점점 어려워져요.” 서울 관악구의 한 마트에서 만난 김 모 씨(57)는 장바구니를 내려놓으며 한숨을 내쉬었다.
반찬거리를 사러 왔다가 치솟은 가격표에 발걸음을 돌리는 그의 절망적인 목소리는 오늘날 한국 사회의 민낯을 그대로 보여준다.
물가 안정, 국민이 꼽은 최우선 과제
한국경제인협회가 모노리서치에 의뢰해 국민 1천 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민생 과제 조사 결과, 응답자의 60.9%가 ‘물가 안정’을 최우선 민생 과제로 꼽았다고 20일 발표했다. 특히 모든 연령대에서 물가 안정 응답률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이어 양질의 일자리 창출(17.6%), 주거 안정(9.5%), 지역경제 활성화(7.8%), 취약계층 지원 강화(3.8%) 순으로 응답했다.
민생경제에서 가장 큰 어려움을 묻는 질문에도 ‘고물가 및 생활비 부담 증가’가 53.5%로 1위를 차지했다.
한경협은 “최근 소비자물가상승률이 2%대 초반을 유지하고 있지만, 고물가 추세가 누적되면서 체감 물가가 여전히 높게 나타난다”고 분석했다.
실제로 소비자물가지수는 2016년(95.78)에서 2020년(100)까지 4.4% 상승했으나, 2020년부터 올해 4월(116.38)까지는 무려 16.4%나 오른 것으로 드러났다.

소득 격차에 따른 체감물가 차이 심각
더욱 우려되는 점은 소득이 낮을수록 물가 상승에 따른 생활고를 더 심각하게 체감하고 있다는 사실이다.
한경협이 발표한 최근 10년간(2014~2024년) 소득분위별 체감물가 추이 분석 결과에 따르면, 최빈층인 소득 1분위의 체감물가 상승률은 23.2%로, 고소득층인 5분위(20.6%)보다 2.6%포인트 높게 나타났다.
10년 사이 소득분위별 체감물가 상승률은 2분위 22.4%, 3분위 21.7%, 4분위 20.9% 등으로 소득이 낮을수록 물가 상승 부담을 크게 느끼는 경향을 보였다.

그 원인으로는 저소득층의 지출 비중이 높은 식료품과 주거비 물가가 다른 분야보다 가파르게 오른 점이 지목됐다.
이상호 한경협 경제산업본부장은 “최근 10년간 먹거리 물가가 크게 상승하며 취약계층의 체감물가 부담을 가중하고 있다”며 “취약계층 보호를 위해 농산물 수급 안정화 대책 마련과 유통규제 개선, 농산물 수입 다변화 등을 추진할 필요가 있다”고 강조했다.
물가 해결책으로 ‘농축산물·생필품 가격 안정’ 시급
이러한 상황을 타개하기 위해 국민들은 다양한 해결책을 원하고 있다. 물가 안정을 위해 정부가 추진할 정책으로는 ‘농축산물·생필품 가격 안정’이 35.9%로 가장 많이 꼽혔다.

이어 공공요금 부담 경감(21.8%), 환율 변동성 완화·수입 물가 안정(17.2%), 세금 부담 완화·생활비 지원 강화(17.1%), 에너지·원자재 가격 안정(7.8%) 순으로 나타났다.
국민들의 이 같은 목소리는 현 경제 상황의 심각성을 여실히 보여준다. 물가 안정을 위한 신속하고 효과적인 대책이 시급한 시점이다.
특히 취약계층이 더 큰 고통을 겪고 있는 만큼, 이들을 위한 맞춤형 지원책 마련이 필요하다는 데 공감대가 형성되고 있다.
물가는 오르고 돈많은놈들 세금은 적게받고 ?????누구말?개같은 세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