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너지는 건설 산업…
생존을 위한 ‘몸집 줄이기’ 총력전
“공사는 언제 재개될지 모릅니다. 당장 월세를 계속 내야 해서 막막합니다.”
한 재건축 현장에서 만난 A 씨는 작년 12월부터 멈춰 선 공사를 지켜보고만 있다. 공사비를 감당하지 못한 시공사가 손을 놓으면서 현장은 방치됐다.
인건비와 자재비 상승, 부동산 프로젝트 파이낸싱(PF) 부실 등 악재가 겹치며 건설사들은 연이어 무너지고 있다.
한때 지역을 대표하던 중견 건설사마저 줄줄이 부도를 맞는 가운데, 건설업계는 최악의 위기에 직면했다.
건설사 부도는 올해에만 30곳에 달하며, 이는 작년의 21곳을 훌쩍 넘긴 수치다. 특히, 지방의 중소 건설사들이 큰 타격을 입으며 경기 불황의 직격탄을 맞았다.
부산의 대표 건설사이자 20년 이상 흑자 경영을 이어오던 신태양건설은 PF 어음을 막지 못하고 부도 처리됐다.
건설업 침체는 고용시장에도 영향을 미쳤다. 올해 2분기 기준 건설업 일자리는 3만 1000개 감소했다.
이는 3분기 연속 감소세로, 중소 건설사뿐 아니라 대형 건설사까지 신규 공사가 줄면서 인력을 줄일 수밖에 없는 실정이다.
건설업 위기의 전말과 기업들의 생존 전략
이렇다 보니 서울과 지방을 막론하고 공사 중단 현장이 늘어나고 있다.
대전의 한 재건축 현장은 작년 12월부터 공사가 멈췄다. 시공사는 공사비 인상을 요구했지만, 조합이 이를 받아들이지 못하자 공사를 포기했다.
하도급업체들은 대금을 받지 못한 채 철수했고, 일부 전문건설업체는 아예 폐업에 이르렀다.
대형 건설사들도 현금 확보에 나섰다. GS건설은 자회사 GS엘리베이터와 GS이니마를 매각하며 유동성 확보에 총력을 기울이고 있다.
SK에코플랜트는 미국의 폐배터리 리사이클링 기업 주식을 매각해 1300억 원을 확보했다. 대우건설은 뉴스테이 사업 지분 1800억 원어치를 매각하며 유동성을 강화했다.
태영건설 역시 자구책으로 여의도 사옥을 매각해 2251억 원을 확보했다. 그러나 이러한 매각 전략이 기업의 장기적 생존에 도움이 될지는 미지수다.
정부는 공사비 인상과 PF 보증 확대 등 다양한 대책을 내놓았다. 국토교통부는 공공 공사비를 2.3~6.5% 인상하고 PF 보증 규모를 기존 35조 원에서 40조 원으로 확대했다.
또한, 회사채 매입 프로그램을 통해 90조 원 이상의 자금을 투입할 계획이다.
그러나 업계에서는 “문제를 근본적으로 해결하지 못한다”는 불만이 나온다.
한 중소 건설사 대표는 정부 대책이 실효성을 가지려면 규제 완화와 함께 보다 근본적인 정책 변화가 필요하다고 지적했다.
돌대가리 문재인. 꼴통 윤석열이가 나라를 완전히 말아먹었음 앞으로 법대는 대통령 할. 수 없도록 헌법에 규정해 놓아야 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