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갤럭시 S25 공짜로 받았어요”
통신 3사 보조금 경쟁, 논란 일파만파

“지난주 토요일, 갤럭시 S25를 0원에 샀다는 글을 보고 바로 달려갔죠.”
서울 구로구에 A 씨는 최근 온라인 커뮤니티에 올라온 글을 읽었다.
해당 게시글엔 ‘KT 성지 매장에서 갤럭시 S25 공짜로 받았다’는 후기가 올라왔고, 댓글에는 “나도 받았다”, “지금 안 가면 늦는다”는 말이 이어졌다.
게시글에 혹한 A 씨는 당장 매장을 찾았고, 그는 “상담도 없이 기다리는 사람이 줄을 섰고, 직원은 ‘타사에서 번호이동하면 이 가격’이라며 종이에 가격만 써줬다”고 회상했다. 현장에서 제시된 번호이동 보조금은 무려 110만 원이었다.

최근 통신업계에서 벌어지고 있는 보조금 경쟁은 단순한 마케팅을 넘어 법 위반 논란까지 불러오고 있다. 그 배경에는 ‘SKT 유심 해킹’이라는 전례 없는 보안 사고가 있다.
이탈한 고객을 잡기 위한 통신사들의 물밑 경쟁이 점점 수면 위로 떠오르는 모습이다.
SKT 해킹 공백 노리고 경쟁사 ‘보조금 폭탄’
14일 기준, KT와 LG유플러스 일부 유통점에선 번호이동 고객에게 100만 원이 넘는 보조금을 지급하고 있다.
갤럭시 S25를 기준으로 KT는 105만~109만 원, LG유플러스는 110만~120만 원을 지원한다. 하루 전보다 29만 원이나 급등한 수치다.

하지만 이 같은 보조금은 현행법상 불법이다. ‘이동통신단말장치 유통구조 개선에 관한 법률(단통법)’에 따르면, 유통점은 통신사 공시지원금의 15% 이내에서만 추가 지원금을 지급할 수 있으며, 이를 넘는 금액은 불법 보조금으로 간주된다.
특히 번호이동 고객에게만 혜택이 집중되면서, 같은 제품을 구매하더라도 기존 고객은 절반 수준의 보조금만 받는 상황이 벌어지고 있다.
방통위 단속 나섰지만 현장 분위기는 그대로
이번 과열 양상은 SKT의 유심 해킹 사태가 도화선이었다.
피해자만 50만 명을 넘는 보안 사고로 SKT는 직영점과 공식 대리점에서 신규 가입을 일시 중단했고, 이 공백을 메우기 위해 경쟁사들이 공격적인 번호이동 유치 전략에 나선 것이다.

그런데 이 같은 양상은 SKT도 예외는 아니다. 일부 판매점에서는 SKT로 번호이동할 경우 기기값보다 많은 지원금을 주는 이른바 ‘마이너스폰’ 전략까지 등장했다는 이야기도 흘러나오고 있다.
방송통신위원회는 지난달 30일부터 이달 말까지 불법 보조금 지급 실태 점검에 착수한 상태다.
하지만 매장에서 실제 어떤 조건이 제시되고, 얼마의 금액이 오가는지에 대한 감독은 여전히 느슨하다는 평가가 많다.
소비자가 제도를 믿지 못하고, 통신사는 틈새를 노리는 상황에서, 가장 흔들리고 있는 건 결국 시장의 신뢰 그 자체다.
소비자는 신나는데
소비자는 좋기만하다
개인정보유출 사기기사
현장에서 6개월 12만원 6개월 66천원, 18개월 44천원 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