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산이 뒤집어진다”…확 달라진 분위기, 천지개벽 예고에 주민들은 ‘활짝’

AI부터 정부 부처까지 ‘입주 러시’
지역 경제의 판이 달라지고 있다
부산
부산 입주 러시 / 출처 : 연합뉴스

“요즘 부산, 왜 이렇게 잘나가?”

광고

최근 산업계와 정치권에서 부산을 둘러싼 시선이 심상치 않다. 1조 8천억 원 규모의 AI 데이터센터가 들어서고, 해양수산부 본청도 이전을 앞두고 있다.

부산이 단순한 항구 도시에서 ‘미래 산업의 테스트베드’로, ‘정부 기능의 분산지’로 급부상하고 있다.

AI가 왜 부산을 택했을까

부산
부산 입주 러시 / 출처 : 연합뉴스

17일, 부산시는 이지스자산운용과 대규모 투자협약을 맺었다. 명지녹산국가산업단지에 AI 데이터센터 두 곳이 새롭게 들어선다는 내용으로, 투자금만 1조 8천억 원이다.

눈에 띄는 건 단순한 건물 신축이 아니라, 이로 인해 약 300개의 일자리가 직접 생긴다는 점이다. 여기에 파생되는 고용 효과까지 더하면 7500명에 이른다.

경제적 효과는 생산유발 3조 4920억 원, 부가가치 유발 1조 3320억 원으로 추정된다.

무엇보다 의미 있는 건, 이 데이터센터들이 부산 산업의 체질을 바꾸는 데 기여할 것이란 점이다. 조선과 물류에 집중됐던 도시가 이제 AI·빅데이터 중심 산업지로 한발 더 나아가는 셈이다.

광고

박형준 부산시장은 “이번 투자가 지역 경제에 숨을 불어넣는 계기가 될 것”이라고 강조했다.

해수부 이전, ‘청사 쟁탈전’ 시작됐다

부산
부산 입주 러시 / 출처 : 연합뉴스

AI 산업만 몰려드는 게 아니다. 해양수산부 본청의 부산 이전이 본격화되면서, 부산 각 구청들 간의 유치 경쟁도 달아오르고 있다.

북항을 품은 동구는 “해운의 심장, 북항으로 오라”고 외치고, 신항과 가까운 강서구는 “물류 현장 가까운 곳이 최적지”라며 목소리를 높이고 있다.

부산이 이렇게 이전지 유치에 집중하는 이유는 바로 ‘경제 효과’에 있다. 중앙부처가 들어오면 그 주변으로 관련 기관과 기업, 일자리, 세금까지 따라오기 때문이다.

실제로 부산시는 해수부와 그 산하기관이 통째로 이전하면 산업·행정 협업 효율은 물론이고, 지역 내 소비와 투자가 크게 늘어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광고

이번 AI 데이터센터 유치와 해수부 이전은 단순한 우연이 아니라, 정부의 수도권 집중 완화 정책과 지역 균형발전 전략의 일환이다.

부산 개발
부산 입주 러시 / 출처 : 연합뉴스

부산은 국내 최대 항만 도시이자 해양산업의 중심지로서, 행정기관과 관련 산업의 집적에 적합한 입지를 갖추고 있다.

최근에는 첨단 인프라 확충에도 속도를 내며, AI·데이터 산업 등 신성장 분야에서도 경쟁력을 확보하고 있다.

해양산업과 데이터 기반 산업은 서로 다른 분야지만, 행정 기능과 기술 인프라가 동시에 구축될 경우 상호 보완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부산은 이러한 융합적 발전 가능성을 기반으로 향후 정책적, 산업적 실험이 가능한 공간으로 주목받고 있다.

Copyright ⓒ 이콘밍글.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금지

32

  1. 가짜 대통령 미국도 알고있다 는 현수막 걸어 놓고 어찌 이재명 정부의 덕을 보려 하으냐 부끄러운 놈들 부산은 열외다

  2. 부산국회의원.시.구.군장들.시.구의원들보시오!표만달라하지말고.부산을천지개벽발전시키라.이인간들아!,너들조만간추풍낙옆되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