피 같은 보험료 “무려 14조 원이나 줄줄”… 외국 기업만 미소 짓는다

보험사 수익 늘었지만
재보험은 ‘적자 터널’ 계속
국내 담보력 약화, 외국계만 웃는다
보험료
국내 보험사들의 재보험 적자 / 출처 : 연합뉴스

“돈은 벌었지만, 다 가져가지 못했다.”

국내 보험사들이 지난해 역대급 순이익을 기록했지만, 정작 재보험 거래에선 거꾸로 손실을 쌓아가고 있다.

최근 3년간 해외로 유출된 재보험료가 14조 원에 달하고, 같은 기간 누적 손실만 2조 7천억 원에 이른다. 이는 외국계 중심으로 재편된 재보험 시장에서 국내 보험사들이 여전히 ‘을(乙)’의 위치에 머물고 있음을 보여준다.

수익 내도 남는 게 없다…3년간 적자 2조 7천억 원

보험료
국내 보험사들의 재보험 적자 / 출처 : 연합뉴스

손해보험업계에 따르면, 국내 손보사들이 해외 재보험사에 지급한 보험료는 2022년 3조 1천억 원, 2023년 3조 1천억 원, 올해는 3조 3천억 원으로 늘어나고 있다. 3년간 누적 금액만 9조 6천억 원이다.

여기에 국내 유일의 전업 재보험사인 코리안리가 해외 재보험사에 지불한 재재보험료 3조 9천억 원을 더하면 총유출액은 13조 5천억 원을 넘는다.

재보험료는 보험사가 또 다른 보험사에 내는 ‘2차 보험료’로, 보험사가 감당하기 어려운 큰 손실을 막기 위해 계약의 일부 위험을 넘기면서 지급하는 비용이다.

예를 들어, 대형 자연재해나 사고로 인해 막대한 보험금을 지급하게 될 경우를 대비해 미리 ‘보험을 위한 보험’을 들어 두는 셈이다.

보험료
국내 보험사들의 재보험 적자 / 출처 : 연합뉴스

문제는 국내 재보험 시장의 선택지가 적고 담보력도 약해 대부분의 계약이 외국계 재보험사에 의존하고 있다는 점이다. 그 결과, 국내 보험사들은 매년 수조 원을 해외에 지급하면서도 실질적인 수익은 내지 못하고 있다.

코리안리 흔들리자 외국계만 웃는다

국내 재보험 산업의 중심축인 코리안리의 점유율은 빠르게 줄고 있다. 2022년 수재보험료 기준 시장 점유율은 68.9%였지만, 지난해는 59.9%, 올해는 56.5%로 하락했다.

경쟁력 약화의 이유로는 ‘지급여력비율(RBC)’이 지목된다. 지난해 4분기 기준 코리안리의 지급여력비율은 191.7%로, 스위스리(263.7%)나 뮤닉리(319.1%)에 비해 크게 낮은 수준이다.

보험료
국내 보험사들의 재보험 적자 / 출처 : 뉴스1

보험금 지급 능력을 가늠하는 이 비율은 감독당국의 경영개선 요구 기준인 150%를 넘기긴 했지만, 시장 경쟁에서는 분명한 약점으로 작용하고 있다.

지난해 국내 보험사 전체 순이익은 14조 원을 돌파하며 사상 최대치를 기록했다.

하지만 투자이익 개선에 따른 외형 성장과는 별개로, 핵심 보험 본연의 손익 구조는 여전히 취약하다. 특히 재보험 부문에서는 구조적 적자가 누적되고 있다.

결국 국내 재보험 시장은 경쟁력 있는 구조 개편 없이는 외국계에 종속되는 현실을 피할 수 없다는 우려의 목소리가 높아지는 시점이다.

Copyright ⓒ 이콘밍글.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금지

4

  1. 14조원 !!!!불채류자와 국제결혼 신부와 그 부모들의 외화 밀반출은 얼마나 될까요. 쉬고 편한 노동은

  2. 14조원 !!!!불채류자와 국제결혼 신부와 그 부모들의 외화 밀반출은 얼마나 될까요. 쉬고 편한 노동을 유독 외국인만 수백명 고용하는 사업주의. 저의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