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G에 무임승차? 中 기업 “딱 걸렸다”… 대체 무슨 일?

중국 배터리 업체의 기술 도용 시도
독일 법원, LG 손 들어주며 판매 금지 명령
첫 자동차 배터리 관련 금지 판결의 의미
LG
LG 승소 / 출처: 연합뉴스

“LG에너지솔루션의 기술에 무임승차할 수 없다는 점을 보여준 판결입니다.” 독일 뮌헨 지방법원의 역사적인 판결 이후 헝가리 특허관리전문회사 튤립 이노베이션이 밝힌 소감이다.

글로벌 배터리 산업에서 벌어지는 특허 전쟁의 한 단면을 보여주는 순간이었다.

기술 도용과 무임승차에 제동

29일 헝가리 특허관리전문회사(NPE) 튤립 이노베이션에 따르면 LG에너지솔루션이 중국 배터리 업체 선와다 그룹과의 특허 소송에서 승소했다.

LG
LG 승소 / 출처: 연합뉴스

지난 22일 독일 뮌헨 지방법원은 선와다가 LG에너지솔루션의 배터리 분리막 기술 2개를 침해했다고 판단해 해당 기술이 적용된 선와다 배터리의 독일 내 판매를 금지했다.

분리막은 리튬이온 배터리의 핵심 부품으로, 안전성과 성능에 결정적인 역할을 한다. LG에너지솔루션은 선와다가 자사의 특허 기술을 무단으로 사용해 배터리를 생산하고 판매했다고 판단해 소송을 제기했다.

재판부는 선와다에 잔여 배터리 회수 및 폐기와 함께 손해배상 지급을 명령했다.

튤립 이노베이션 측은 “이번 판결은 독일에서 자동차 배터리 관련 첫 금지 명령”이라며 “이 분야 혁신 리더들이 발명한 기술에 무임승차할 수 없음을 보여준다”고 평가했다.

LG
LG 승소 / 출처: 뉴스1

선와다 측의 항소가 예상되지만, 이번 결정이 항소심에서도 유지될 것이라는 기대감도 내비쳤다.

LG의 강력한 특허 전략

작년 기준 글로벌 배터리 시장 점유율 10위 업체인 선와다는 소형 리튬이온 배터리와 전기차 리튬인산철(LFP) 배터리를 중심으로 성장하고 있다.

중국 업체들의 공격적 시장 진출 과정에서 기술 모방이 빈번해지자, LG에너지솔루션은 강력한 법적 대응을 선택했다.

LG
LG 승소 / 출처: 연합뉴스

LG에너지솔루션은 전 세계 이차전지 기업 중 가장 많은 특허를 보유하고 있으며, 특허 무단 사용에 대한 강경 대응 방침을 이미 밝힌 바 있다.

경쟁사가 침해하거나 침해할 것으로 예상되는 ‘전략특허’는 1천여 개, 이 중 침해가 확인된 특허만 580건에 이른다.

혁신 행보로 중국 견제

한편 LG에너지솔루션은 혁신적인 신기술 개발로도 중국 경쟁사들과 격차를 벌리고 있다.

LG
LG 승소 / 출처: 연합뉴스

LG에너지솔루션은 지난 14일 미국 GM과 공동 개발한 리튬망간리치(LMR) 배터리를 2028년부터 양산한다고 발표했다.

망간이 주원료인 LMR은 가격이 저렴하고 에너지 밀도가 높아 중국이 장악한 LFP를 대체할 ‘게임체인저’로 주목받는다.

이 배터리는 ㎾h당 80~90달러로 LFP 배터리(60~80달러)와 비슷한 가격대면서도 에너지 밀도는 33% 높아 주행거리 644km를 목표로 한다. 이는 400km대에 불과한 LFP 배터리의 한계를 크게 뛰어넘는 수치다.

업계 관계자는 “저렴한 중국산 LFP로 고전하던 LG에너지솔루션이 중저가 시장에서 경쟁할 기반을 마련했다”며 “미국 시장 공략에 큰 무기가 될 것”이라고 전망했다.

Copyright ⓒ 이콘밍글.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금지

3

  1. 짱깨 시키들이 땅떵어리 만 컸지 과학.문화 모든 수준이하로 남의꺼 뱃기기로 연명하는 치졸한 인간ㄷ