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카오 ‘회사 팔겠다’ 소식에… 전문가들 고개 젓는 이유

카카오엔터 매각설에 업계 ‘갸웃’
카카오
카카오 자회사 매각설 / 출처 : 연합뉴스

“매각한 지 얼마 안 됐는데, 또 다시 검토를 한다고요?”

카카오가 콘텐츠 자회사 카카오엔터테인먼트 매각을 검토 중이라는 보도가 나오자 이용자들은 우려와 피로를 동시에 토로했다.

카카오모빌리티, 카카오VX에 이어 또 한 번의 ‘핵심 자산 매각’ 논란이다. 이번엔 추정 가격까지 무려 ‘11조 원’이 거론되며 파장이 더 커지고 있다.

10일 정보기술(IT) 업계에 따르면, 카카오는 최근 주요 주주들에게 카카오엔터테인먼트의 경영권 매각을 포함한 다양한 방안을 검토 중이라는 내용의 서한을 전달한 것으로 알려졌다.

카카오
카카오 자회사 매각설 / 출처 : 연합뉴스

카카오 측은 공시를 통해 “아직 확정된 것은 없다”고 밝혔지만, 업계에서는 이미 매각 논의가 본격화됐다고 보고 있다.

일부 매체에서는 카카오엔터의 몸값을 ‘11조 원 안팎’으로 추정하고 있다. 그러나 실적을 따져보면 이 수치는 지나치게 낙관적이라는 분석이 나온다.

카카오엔터의 지난해 매출은 1조 8128억 원으로 전년 대비 소폭 감소했고, 영업이익은 806억 원에 그쳤다.

콘텐츠 산업도 ‘하락장’… 통매각보단 분할매각 가능성

카카오
카카오 자회사 매각설 / 출처 : 연합뉴스

시장 분위기도 매각 가능성에 회의적이다. 콘텐츠 산업이 전반적으로 고점을 지나 하향 안정기에 접어든 가운데, 10조 원이 넘는 M&A 사례는 과거에도 없었고 당분간도 어려울 전망이다.

더욱이 카카오엔터 내 다수 제작 자회사가 적자를 기록하고 있는 점도 부담이다. 영화사집, 글앤그림미디어, 로고스필름 등 7개 제작 자회사 중 절반 이상이 순손실을 냈고, 그중 일부는 10억 원 이상 적자를 기록했다.

이 때문에 업계는 카카오엔터를 통째로 넘기기보다는 자회사를 따로 떼어내 분할 매각하는 방식이 더 현실적이라는 분석을 내놓는다.

특히 글로벌 OTT 업체들과 협업 경험이 많은 제작사들은 개별 매각 시 더 높은 가치를 받을 가능성도 있다.

매각 논란에 노조도 반발… “사모펀드 행보, 이젠 그만”

카카오
카카오 자회사 매각설 / 출처 : 뉴스1

카카오엔터 매각설이 알려지자, 카카오 노동조합 크루유니언은 즉각 반발했다.

노조는 입장문을 통해 “계열사 매각이 반복되면서 플랫폼 통제가 어렵고, 책임 있는 경영도 기대할 수 없는 구조가 됐다”고 비판했다.

특히 매수자로 거론되는 앵커에쿼티파트너스와 PIF 등이 사모펀드라는 점에서, “국민이 기대하는 쇄신 방향과는 전혀 다르다”는 반응도 이어졌다.

서승욱 노조 지회장은 “사모펀드 위주의 매각이 반복되면 결국 구성원과 플랫폼의 건강성은 더 악화될 수밖에 없다”고 강조했다.

카카오
카카오 자회사 매각설 / 출처 : 연합뉴스

경영 정상화와 기업 가치 제고를 동시에 노려야 하는 상황에서, ‘성장동력’으로 삼았던 콘텐츠 사업을 손쉽게 매각할 수 있느냐는 의문이 남는다.

Copyright ⓒ 이콘밍글.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