월급 300만 원에 결혼? “우리 자식들 어떡해요”…우려가 결국 ‘현실로’

서울 오피스텔 평균 월세 최고치
신혼부부 결혼 비용 매년 1000만 원씩 증가
청년층 결혼 기피 현상 심화
결혼
결혼 비용 부담 / 출처: 연합뉴스

“월급 300만 원 받아서 어떻게 결혼하나요? 전세금 마련하랴, 가전제품 사랴, 월세 내면 남는 돈도 없어요”

한 온라인 커뮤니티에 올라온 이 한탄이 수많은 공감을 얻고 있다. 결혼을 꿈꾸는 청년들에게 주거비 부담은 현실적인 장벽으로 다가오고 있다.

실제로 서울 오피스텔 평균 월세가 사상 최고치를 기록했다. 18일 한국부동산원에 따르면 지난달 서울 오피스텔 평균 월세는 90만 8000원으로 지난해 12월 기록한 90만 7000원을 넘어섰다.

1년 전과 비교하면 약 2만 원 상승한 수치다. 월급의 30% 이상이 월세로 빠져나가는 구조 속에서, 결혼을 고민하는 젊은 층의 부담은 더욱 커지고 있다.

결혼
결혼 비용 부담 / 출처: 연합뉴스

결혼 비용 2억 시대, 신혼부부 절반 이상이 대출 의존

결혼을 위해 필요한 자금도 천정부지로 치솟고 있다. 지난달 하나금융연구소의 발표에 따르면 최근 3년 내 결혼한 신혼부부의 평균 결혼 비용은 2억 635만 원으로 나타났다.

결혼 예정자들은 2억 2,500만 원 정도를 예상하고 있으며, 이는 매년 1,000만 원씩 증가하는 추세다.

특히 주거 비용이 가장 큰 부담 요소다. 서울의 경우 신혼부부가 내 집 마련을 위해서는 월급을 한 푼도 쓰지 않고 13년을 모아야 한다는 분석이 나왔다.

결혼
결혼 비용 부담 / 출처: 연합뉴스

2023년 기준 수도권 평균 주택 비용은 2023년 기준 2억 8,636만 원, 서울은 평균 3억 5,237만 원에 달한다.

이러한 현실 속에서 신혼부부 10명 중 6명이 대출을 활용하고 있으며, 그중 4명은 결혼 자금의 절반 이상을 빚으로 마련하는 실정이다.

대출 없이 결혼을 준비하는 것이 사실상 불가능한 상황에 이르렀다.

경제적 여유와 결혼 결정의 관계

결혼
결혼 비용 부담 / 출처: 연합뉴스

이러한 상황에서 청년층들의 결혼 기피 현상은 더욱 심화되고 있다.

2023년 조사 결과, 미혼 남녀의 41.8%가 결혼 의향이 없다고 응답했으며, 그중 29.8%가 경제적 여유 부족을 이유로 꼽았다.

특히 남성의 경우 40.9%가 경제적 부담을 결혼 기피의 주된 이유로 들었다.

소득 수준과 결혼 만족도는 정적인 관계를 보이며, 소득이 높을수록 결혼 만족도가 높게 나타났다.

결혼
결혼 비용 부담 / 출처: 연합뉴스

특히 객관적인 소득보다는 개인이 느끼는 소득 만족도가 결혼 만족도에 더 큰 영향을 미쳤다.

경제적 스트레스는 결혼 안정성에도 영향을 미친다. 경제적 갈등 수준이 높을수록 부부간 갈등이 심화되며 결혼 만족도가 낮아지는 경향을 보였다.

재정적 스트레스는 부부간 친밀도를 감소시키는 요소로 작용할 수 있지만, 경제적으로 안정된 커플은 함께 어려움을 극복하며 관계가 더욱 견고해지는 경우도 많았다.

결혼을 둘러싼 현실이 갈수록 어려워지는 가운데, 젊은 세대들에게 결혼이란 벽은 점점 높아지고 있다.

Copyright ⓒ 이콘밍글.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14

  1. 이런기사가 뜨니깐 더 결혼안할려고함
    돈이 중요한건 사실이지만 그것때문에 결혼 못하는게 아님
    왜 자꾸 비교를 하지? 있으면 있는데로 없으면 없는데오
    결혼이 무슨 장사나 재테크도 아닌데…

관심 집중 콘텐츠

빠른배송

“쿠팡만 주 7일? 우리도 질 수 없다”… 패션업계 휩쓴 ‘트렌드’

더보기
부실기업 임금체불 증가

“못 받은 돈만 500만 원 넘는데”… 이번 달도 위험하다? 근로자들 ‘눈물만’

더보기
토허제

“사두면 돈 된다” 줄줄이 모여들자 말 바꾼 서울시, 달라지는 점은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