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파트 매매가 16주 연속 상승세
강남권 ‘똘똘한 한 채’ 집중
목동·도봉구 재건축 탄력

“이제 정말 사야겠어” 한동안 관망세를 보이던 매수자들이 움직이기 시작했다.
토지거래허가구역 확대로 위축됐던 시장 분위기가 180도 달라지고 있다.
서울 아파트값 16주째 상승 행진
한국부동산원이 22일 발표한 5월 셋째 주(5월 19일 기준) 전국 주간 아파트가격 동향이 이를 입증한다.
서울 아파트 매매가격은 0.13% 올라 전주 상승률 0.10%보다 오름폭이 더 커졌다.

서울은 이로써 16주 연속 상승세를 이어간 반면, 지방은 0.04% 내리며 전주 하락률 0.02%보다 낙폭이 확대됐다.
수도권과 지방의 온도차가 더욱 벌어지는 양상이다.
전국 아파트 매매가격은 전주에 이어 보합세를 유지했는데, 이는 서울의 상승세가 지방의 하락세를 상쇄한 결과다.
강남권 ‘똘똘한 한 채’ 쏠림 현상
서울 내에서는 강남권이 상승세를 주도하고 있다.

강남구는 전 주 0.19%에서 이번 주 0.26%로, 서초구는 0.23%에서 0.32%로, 송파구는 0.22%에서 0.30%로 각각 상승폭을 키웠다.
부동산 전문가들은 시장의 ‘똘똘한 한 채’ 선호 현상이 여전하다고 분석했다.
실제로 양천구도 0.13%에서 0.22%로 상승폭이 확대됐다.
특히 목동 지역 재건축 단지에서 최근 가격 상승세가 나타나고 있다.
영등포구 여의도 일대 재건축 단지들도 매매가격 상승을 견인하며 전주 0.13%에서 이번 주 0.16%로 올랐다.

부동산원 관계자는 “재건축 추진단지 등 주요 선호단지 위주로 매도 희망가격이 상승하고 상승 거래가 체결되며 서울 전체 상승세가 지속됐다”고 설명했다.
목동·도봉구 재건축 본격화
이런 시장 분위기를 반영하듯 실제 재건축 승인도 잇따르고 있다.
서울시는 21일 도시계획위원회에서 목동 4단지와 10단지 재건축 사업안을 가결했다고 22일 밝혔다.
목동 4단지는 최고 49층 규모로 2436세대 주거단지로, 목동 10단지는 최고 40층 4050세대 규모로 각각 변신한다.

서울시는 올해 안에 목동 14개 단지 모두 정비계획을 결정한다는 목표를 세운 상태다.
재건축 바람은 목동뿐만 아니라 강북 지역에도 불고 있다.
도봉구 삼환도봉아파트도 재건축 심의를 통과해 1987년 준공된 660세대 노후 아파트가 42층 이하 993세대 규모로 신축된다.
이는 신속통합기획 자문사업 방식을 적용해 심의 속도가 빨라진 결과다.
강북구 번동 일대도 재개발이 결정되면서 오패산 자락 구릉지에 위치한 저층 주거 밀집 지역이 26층 높이 960세대 단지로 탈바꿈한다.
서울시 최진석 주택실장은 “열악한 저층 주거밀집 지역이 쾌적한 주거단지로 거듭날 것”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