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년 9개월 만에 최저 수준
외환당국, 시장 개입 나설까

“외환보유액이 계속 줄어들면 환율 방어는 어떻게 합니까?”
국내 외환시장이 술렁이고 있다. 지난달 한국의 외환보유액이 20억 달러(약 2조 8700억 원) 가까이 줄어들면서 금융시장에서도 우려가 커지고 있다.
한국은행이 6일 발표한 통계에 따르면 2월 말 기준 외환보유액은 4092억 1000만 달러로, 전월보다 18억 달러 감소했다.
이는 2020년 5월 이후 4년 9개월 만에 가장 낮은 수준이다. 지난해 12월 한 차례 반등했던 외환보유액은 올해 들어 두 달 연속 감소세를 이어가고 있다.

외환보유액은 국가 경제의 안전판 역할을 하는 중요한 지표다. 보유액이 줄어들수록 외환위기와 같은 충격에 대한 대응력이 낮아질 수 있다.
이에 따라 외환보유액 감소가 지속될 경우 한국 경제의 신인도에도 영향을 미칠 가능성이 제기되고 있다.
외환보유액 감소의 주요 원인은 국민연금과의 외환스와프 확대다.
국민연금이 해외 투자를 위해 대규모 달러를 매입하면서 외환보유액이 감소한 것으로 분석된다.

외환 당국이 원·달러 환율 급등을 막기 위해 시장에 개입한 것도 영향을 미쳤다. 한국은행은 최근 원화 가치 하락을 막기 위해 외환시장에서 달러를 공급해 왔다.
“4000억 달러 방어 가능할까”…외환당국의 대응은?
전문가들은 당장 4000억 달러 선이 무너질 가능성은 크지 않다고 보고 있다.
한 금융업계 관계자는 “국민연금과의 외환스와프는 일정 기간 후 원상 복구되는 구조이기 때문에 단기적인 감소가 대외 신인도에 미치는 영향은 제한적”이라고 설명했다.

하지만 환율 변동성이 확대될 경우, 외환보유액 감소가 더 빠르게 진행될 수 있다.
미국 연방준비제도(Fed)의 금리 정책도 변수로 작용할 전망이다.
만약 미 연준이 예상보다 더 긴축적인 통화정책을 유지할 경우, 달러 강세가 지속될 가능성이 크다. 이렇게 되면 원·달러 환율이 상승하면서 외환시장 불안이 더욱 심화될 수 있다.
외환보유액 감소가 지속되면 한국 경제의 대외 신인도에도 영향을 미칠 수 있다.

국제신용평가사들은 외환보유액 수준을 국가 신용등급 평가의 중요한 요소로 보고 있기 때문이다.
한 경제 전문가는 “외환보유액 감소가 단기적인 요인에 의한 것이라면 큰 문제가 되지는 않겠지만, 지속적인 감소세가 이어진다면 투자자들의 신뢰가 흔들릴 수 있다”고 지적했다.
정부는 외환시장 변동성을 면밀히 모니터링하면서 외환보유액 관리에 나설 것으로 보인다.
외환 당국이 추가적인 시장 개입을 통해 환율 안정을 도모할지, 아니면 외환보유액을 더 신중하게 관리할지에 대한 논의도 본격화될 전망이다.
금과 은에 관세 부가세를 매기지 않나. 외국인이 국내 부동산을 사는데 지랄을 하지 않나. 기업을 만들래도 농동자 편에 서서 기업을 악마 취급하는데 뭔 수로 외화가 들어오겠냐.
주가조작해도 수사 안받고 내란을 일으켜도 풀려나는 나라에 누가 투자하나?
한은은 물가안정을 목적으로 설립된 기관. 즈제 넘게 경제 살린다고 금리인하를 하냐. 미국 파월 봐라. 트럼프 하고 맞대결 하며 소신을 지킨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