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억도 많다”는 현실 목소리
고공행진 출연료, 결국 제동 걸리나
콘텐츠 생존 위한 ‘리셋’ 바람 시작됐다

넷플릭스 한국 드라마들이 글로벌 인기 차트를 휩쓸고 있는 가운데, 정작 업계 내부에서는 “더는 못 버틴다”는 비명이 터져 나오고 있다.
‘폭싹 속았수다’, ‘악연’, ‘약한 영웅2’, ‘중증외상센터’ 등 넷플릭스 오리지널 드라마들이 국내외에서 연일 화제를 모으며 K-드라마 열풍을 이어가고 있지만, 이면에는 천정부지로 치솟은 제작비와 배우 출연료로 인한 업계의 고통이 숨어있다.
이런 가운데 넷플릭스가 한국 드라마의 제작비 구조에 칼을 들이댔다. 배우 출연료 상한선을 ‘회당 4억 원’으로 정한 것으로 알려지며, 수년간 고공행진을 이어온 출연료 시장에 브레이크가 걸린 셈이다.
“이러다 다 죽는다”…제작사도 매니지먼트도 ‘한계’
드라마 한 편당 제작비가 20억 원을 넘기는 상황에서 배우 한 명이 회당 억대 출연료를 요구하는 일은 더는 낯설지 않았다.

대표적인 예로, 넷플릭스 ‘오징어 게임 시즌2’에 출연 중인 이정재가 회당 10억 원을 받는다는 소문이 업계에 돌며 논란이 커지기도 했다.
작품 흥행 이후 몸값이 오른 이정재는 글로벌 인지도까지 더해져 단숨에 ‘역대급 개런티’의 상징으로 떠올랐다.
그러나 이러한 구조는 콘텐츠 산업 전반을 흔들고 있다. 과거 3~4억 원이던 회당 제작비는 넷플릭스 진출 이후 5배 가까이 뛰었고, ‘오징어 게임 시즌3’는 제작비 1000억 원에 달할 것이라는 전망까지 나왔다.
업계 관계자는 “지금처럼 가면 버틸 제작사가 없다”고 토로했다.
이 흐름은 매니지먼트 업계에도 직격탄이 됐다. 중소 연예 기획사들은 잇따라 사업 축소 또는 철수를 선언했고, 배우 매니지먼트를 사실상 접은 씨제스 스튜디오 사례는 업계에 충격을 안겼다.

온라인 커뮤니티 반응은 더욱 냉소적이다. “회당 1억도 많다”, “작가보다 돈 더 많이 받는 게 이상하다”, “드라마 망해도 배우는 돈 벌고 끝”이라는 반응들이 줄을 이었다.
조연급 배우들조차 OTT 출연 시 3배 이상의 출연료를 요구한다는 주장도 나오며, 콘텐츠 산업 전반에 ‘거품 논란’이 퍼지고 있다.
“넷플릭스가 주도했다가, 이제는 손잡아야 할 때”
이와 같은 출연료 폭등의 한 축에는 넷플릭스가 있었다. 글로벌 OTT라는 타이틀 아래 파격적인 출연료와 제작비를 제시하면서 한국 배우들의 ‘몸값 인플레이션’이 가속화됐다.
심지어 일본 배우보다 최대 10배 가까이 많은 출연료를 지급하면서, “넷플릭스만 바라보다가 한국 제작 생태계가 흔들린다”는 비판도 나왔다.

넷플릭스 김태원 디렉터는 지난해 행사에서 “이런 제작비 구조가 결국 부메랑이 될 수 있다”며 적정한 출연료의 필요성을 언급한 바 있다.
그리고 올해, 실제로 넷플릭스는 주조연 배우를 막론하고 기존보다 낮은 금액으로 계약을 체결하고 있으며, 출연료의 상한선을 4억 원선으로 정리한 것으로 알려졌다.
방송사 동시 방영작에 대해서도 출연료 상한선을 제시하며, 전체 제작비 부담을 줄이려는 움직임이다.
과열된 시장에 뒤늦게나마 불을 끄려는 이 시도가 콘텐츠 생태계를 건강하게 돌려놓을 수 있을지 관심이 집중되고 있다.
그럴줄 알았지요
자업자득
그럼 안 찍으면 되지 뭐지
적정하게 합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