허리띠 졸라매고 지갑 닫는 사람들
경기 침체 신호등에 불 들어왔다
수도권에서 직장을 다니는 회사원 A 씨는 본격적인 허리띠 졸라매기에 나섰다.
회사 출퇴근용으로 고민하던 새 차 마련도 포기했고, 배달 음식을 줄이기 위해 배달앱까지 삭제했다.
물가가 가파르게 상승하고 있는 데다, 대출 이자를 갚는 것만 해도 이미 생활이 벅차다는 A 씨.
A 씨처럼 지갑을 닫는 서민들이 늘어나면서 국내 경제가 침체의 그림자 속으로 빠져들고 있다.
통계청이 발표한 ‘2024년 3분기 가계동향조사’에 따르면 가구당 월평균 처분가능소득은 418만 8000원으로 전년 대비 5.5% 증가했다.
이는 3년 만에 가장 큰 증가 폭이다. 하지만 소비는 처분가능소득의 69.4%에 그치며 평균소비성향이 70% 아래로 떨어졌다. 이는 9개 분기 만에 처음으로 발생한 상황이다.
소비 지출이 늘어난 항목은 주거·수도·광열(10.8%)과 보건(5.9%) 등 필수 항목에 집중되었고, 교통(-6.1%), 의류·신발(-4.0%), 교육(-3.0%) 등 비필수 항목에서는 큰 폭으로 줄어들었다.
대표적 사치품인 주류·담배(-4.0%)의 지출 감소도 눈에 띈다.
소비·생산·투자 침체 전망 속 추가 대책 필요
감소한 것은 소비뿐만이 아니다. 10월 전산업 생산지수는 전월 대비 0.3% 감소하며 두 달 연속 하락세를 보였다.
특히 건설업(-4%)과 공공행정(-3.8%)이 큰 폭으로 줄어들며 전체 생산을 끌어내렸다.
설비투자는 전월 대비 5.8% 감소하며 한 달 만에 감소세로 돌아섰다.
반도체 제조용 기계류와 자동차 등의 핵심 품목 투자가 줄었고, 건설 공사 실적을 뜻하는 건설기성 역시 4% 줄며 6개월 연속 감소했다.
소매 판매는 가전제품 등 내구재 판매가 감소하며 두 달 연속 줄어들었고, 1년 전과 비교해도 0.8% 감소했다. 이는 금융위기 이후 15년 6개월 만에 가장 긴 소비 감소세로 기록됐다.
이에 금융통화위원회는 내수 부진을 회복하기 위해 기준금리를 한 달 만에 0.25%포인트 추가 인하하며 연 3.0%로 조정했다.
그러나 소비 위축과 경기 부진이 단기간에 회복되기는 어려울 것이라는 전망이 지배적이다.
전문가들은 취약계층을 위한 지원책 확대와 경기 활성화를 위한 재정정책이 필요하다고 지적한다.
또한, 소비 여건을 개선하기 위한 근본적인 대책 마련과 함께 내수 부진을 타개할 경제 활력 회복 방안이 요구되고 있다.
한 경제 전문가는 “금리 인하가 소비 회복에 일정한 도움을 줄 수는 있지만, 지속 가능한 내수 진작을 위해서는 가계 부담 완화와 소득 불평등 해소에 초점을 맞춰야 한다”고 말했다.
지역화폐를 풀어라
이재명은 전국민에게 법카를 지급하라
법카같은 소리하고 자빠졌네 정신나간 미친새끼가..
경제가 박살나니까 왜이렇게 미친놈들이 많아졌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