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린 일본처럼 안 당해요”… 中의 놀라운 반격에 美 ‘초긴장’

달러 대신 위안화 쓰게 만들겠다는 중국
결제망 따로 만들고 결제 국가도 늘려
중국
중국 자체 결제 시스템 / 출처 : 뉴스1

“중국은 일본처럼 당하지 않을 겁니다.”

최근 일본의 한 유력 매체가 중국의 금융 전략을 이렇게 평가했다.

과거 미국은 일본의 무역 흑자를 억제하려고 ‘플라자합의’라는 조치를 통해 강제로 엔화 가치를 높이게 만들었고, 그 결과 일본은 장기 불황에 빠졌다.

그런데 이제 중국은 비슷한 방식의 압력에 휘둘리지 않겠다는 태도를 분명히 하고 있다.

중국은 왜 ‘자기들만의 결제시스템’을 만들까

보통 나라 간 돈을 주고받을 땐 미국이 주도하는 ‘SWIFT(스위프트)’라는 국제 결제망을 이용한다.

중국
중국 자체 결제 시스템 / 출처 : 연합뉴스

중국은 여기에 의존하지 않겠다고 선언하며, ‘CIPS(국경 간 위안화 지급 시스템)’이라는 새로운 결제망을 2015년에 만들었다.

이 시스템에 참여하는 전 세계 은행은 지금까지 1667곳으로, 최근 3년 동안 30% 가까이 늘었다고 일본 니혼게이자이신문이 5월 22일 보도했다.

또한 중국은 위안화를 사용해서 물건을 사고파는 나라를 계속 늘리고 있다.

대표적으로 시진핑 주석이 지난 4월 캄보디아를 방문했을 때, 양국 간 위안화 결제를 확대하자는 논의도 있었다.

결제수단도 계속 퍼지고 있다. 중국의 대표적인 간편결제 서비스인 ‘위챗페이’는 현재 40개국 이상에서 쓸 수 있게 됐다.

중국
중국 자체 결제 시스템 / 출처 : 연합뉴스

1985년, 미국 뉴욕의 플라자 호텔에서 미국과 일본, 독일, 프랑스, 영국이 모여 환율을 조정하는 ‘플라자합의’를 체결했다.

이때 미국은 자국 달러가 너무 강해서 수출이 안 된다며, 일본 엔화의 가치를 높이라고 압박했다.

결과는 처참했다. 엔화는 단기간에 60% 넘게 뛰었고, 일본 제품은 비싸져서 수출이 줄었다.

이 과정에서 일본은 부동산과 주식 가격이 크게 오르며 거품경제를 겪었고, 결국 ‘잃어버린 30년’이라는 장기 불황으로 이어졌다.

이런 전례를 알고 있는 중국은 “우린 그렇게 당하지 않겠다”며 아예 미국 주도의 결제 시스템 바깥에서 자신들만의 길을 만들고 있는 것이다.

“달러 말고 위안화 쓰겠다고?” 힘 약해지는 미국

중국
중국 자체 결제 시스템 / 출처 : 뉴스1

미국 돈인 ‘달러’는 전 세계 대부분의 나라에서 무역이나 금융 거래를 할 때 사용하는 ‘기축통화’다.

이 말은 곧 미국이 자국 돈을 아무 제약 없이 찍어내도 세계가 받아주는 시스템이라는 뜻이다.

그런데 위안화를 사용하는 나라가 많아지면, 미국 입장에선 곤란해진다. 자국 통화 수요가 줄면 달러를 많이 찍기 어려워지고, 인플레이션 관리도 힘들어진다.

중국의 이런 움직임은 ‘미국 중심 질서’에 정면으로 도전하는 행보로 읽힌다. 미국이 위기의식을 느끼는 것도 그 때문이다.

갈수록 치열해지는 통화 주도권 경쟁 속에서, 세계는 이제 달러와 위안화 사이의 새로운 판짜기를 지켜보게 됐다.

Copyright ⓒ 이콘밍글.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금지

32

  1. 굿뉴스. 중국은 세계 질서에서 빠져 주시고 알아서 우방국들(파키스탄, 캄보디아, 아프리카 일부 국가들) 과 알아서 사이좋게 지내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