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해 태어난 신생아 수 “말도 안 돼”…지방 소멸, 위기가 현실로

신생아 50명도 안 되는 군이 있다?
지방 소멸 위기 현실로
출산
인구 절벽 가속화 / 출처 : 뉴스1

“우리 마을에서 작년에 태어난 아기가 손에 꼽을 정도라니 믿기 어렵다”, “이러다가는 학교도, 병원도 다 사라지는 거 아닌가.”

지난해 전국 기초자치단체 5곳 중 1곳은 신생아 수가 100명을 넘지 못했다.

심지어 경북의 일부 군 지역에서는 한 해 동안 태어난 신생아 수가 50명에도 미치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지방 소멸 위기가 현실로 다가오고 있음을 보여주는 단적인 사례다.

출산
인구 절벽 가속화 / 출처 : 연합뉴스

통계청이 발표한 인구 동향에 따르면, 지난해 전국 출생아 수는 23만 8천 명으로 전년보다 8천 명 증가했지만, 사망자 수(35만 8천 명)를 크게 밑돌았다.

이에 따라 인구 자연 감소 폭은 12만 명을 기록하며 5년 연속 감소세를 이어갔다. 세종시를 제외한 전국 16개 시도에서 출생아보다 사망자가 많아 인구가 줄어든 것으로 나타났다.

수도권 집중, 지방 소멸 가속화

출생아 수 감소는 수도권과 지방의 인구 격차를 더욱 심화시키고 있다.

출산
인구 절벽 가속화 / 출처 : 연합뉴스

지난해 수도권을 제외한 다수의 지방 기초자치단체에서 출생아 수가 100명 이하로 떨어졌다.

특히 경북 영양군과 울릉군은 출생아 수가 50명에도 미치지 못해, 통계청 집계상 ‘0명’으로 표시됐다.

이처럼 지방에서 출생아가 줄어드는 현상은 인구 유출과 맞물려 더욱 심각한 문제를 초래하고 있다.

지난해 국내 인구 이동 통계에 따르면, 경기도로 순유입된 인구는 6만 4천 명으로 전국에서 가장 많았고, 인천 역시 2만 6천 명이 순유입됐다.

출산
인구 절벽 가속화 / 출처 : 뉴스1

반면 강원, 경북, 전남, 전북 등은 대규모 인구 유출을 겪으며 더욱 어려운 상황에 놓였다.

지방자치단체들은 청년층을 유입하고 출산율을 높이기 위해 다양한 지원책을 내놓고 있지만, 효과는 미미한 수준이다.

일부 지역에서는 신혼부부 전세자금 지원, 출산 장려금 확대, 보육시설 확충 등의 정책을 펼치고 있지만, 인구 유출을 막기에는 역부족이라는 지적이 나온다.

정부는 인구 감소 지역 지원책으로 복수주소제 도입, 지방 정착 지원금 확대 등을 검토하고 있다. 하지만 제도적 기반이 미비해 실제 효과를 내기까지는 상당한 시간이 걸릴 것으로 보인다.

출산
인구 절벽 가속화 / 출처 : 뉴스1

전문가들은 지방 소멸을 막기 위해서는 단순한 출산 장려 정책이 아니라, 지방 경제 활성화와 양질의 일자리 창출이 우선되어야 한다고 강조한다.

한 인구학자는 “결국 청년들이 지방에서 살고 싶도록 만드는 것이 핵심”이라며 “주거, 교육, 의료, 교통 등 생활 인프라 개선이 시급하다”고 조언했다.

앞으로의 정책이 지방의 미래를 결정할 중요한 변수가 될 전망이다.

Copyright ⓒ 이콘밍글.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12

  1. 이런 엿같은 나라에서 애낳으면 정신병자지
    정상이냐 ~ 자식한테 피빨리고 황혼길에는
    재산까지 헌납당하며 거지꼴로 생을 마감하지!!!

  2. 애 낳으면 정신병자라니…딴 건 몰라도 왜 애가 없는지는 알겠다..혐오조장 하지마. 다들 행복하게 잘 사니까

관심 집중 콘텐츠

건강보험

“지난해 월급 올랐다면 주목”…1천만 명 직장인 20만원 더 내야 한다

더보기
SK온

아마존이 눈독 들이더니 “결국 한국 택했다”…4조 ‘잭팟’

더보기
돌반지 문화

“백 년 된 한국 문화인데”… 치솟는 금값 앞에 ‘흔들’, 대체 무슨 일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