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성도 LG도 “안심 못 해”…정부에 도움 요청하는 이유

중국, OLED 기술로 무섭게 추격
한국, LCD 때처럼 시장 내줄라 위기감
업계 “정부 지원 없인 버티기 어렵다”
삼성
중국의 OLED 시장 공략 / 출처 : 연합뉴스

“이번에도 중국에 밀리면 끝이다.”

디스플레이 업계가 다시 한번 긴장하고 있다. 중국 업체들이 OLED 기술을 앞세워 한국을 빠르게 추격하고 있기 때문이다.

한국은 과거 LCD 시장에서 세계 1위를 차지했지만, 투자와 기술 개발을 미루는 사이 중국에 시장을 뺏겼다. 이제는 OLED에서도 같은 일이 벌어질 수 있다는 우려가 커지고 있다.

중국, 새로운 기술로 OLED 시장 공략

OLED는 화질이 좋고 색이 선명해 스마트폰이나 TV에 많이 사용되는 화면 기술이다. 한국 기업들이 그동안 앞서 있었지만, 중국 업체들이 점점 따라잡고 있다.

삼성
중국의 OLED 시장 공략 / 출처 : 연합뉴스

중국의 CSOT와 비전옥스 같은 회사는 새로운 방식의 OLED 생산 기술을 개발해 기존 기술의 약점을 파고들고 있다.

한국은 ‘FMM’이라는 복잡한 공정을 써서 고화질을 구현하지만, 이 방식은 대형 화면에 적용하기 어렵고 비용도 많이 든다.

반면 중국은 잉크젯 프린팅이나 ‘ViP’라는 기술로 더 쉽게 OLED를 만들고 있다. 의료용 모니터나 중형 디스플레이처럼 틈새시장을 공략하면서 영향력을 키우고 있다.

시장조사 기관은 OLED 모니터 시장이 올해 크게 성장할 것으로 내다봤다. 이런 흐름을 보면 앞으로 몇 년 안에 OLED 시장 판도가 바뀔 수도 있다.

“LCD처럼 당하면 안 된다”…기업들, 정부에 도움 요청

OLED
중국의 OLED 시장 공략 / 출처 : 뉴스1

한국 기업들은 이미 LCD 시장에서 쓰라린 경험을 했다. 기술은 앞섰지만, 중국이 정부 지원을 등에 업고 공장을 대거 늘리면서 결국 시장을 빼앗겼다.

이번엔 같은 일이 반복되지 않도록 정부의 지원이 꼭 필요하다는 입장이다.

업계는 세금 혜택을 지금보다 더 오래 유지해달라고 요청하고 있다. 투자를 해도 실제 수익이 나려면 시간이 걸리는데, 현행 10년인 세금 공제 기간이 지나면 투자 효과가 줄어들기 때문이다.

또, 세금을 안 낼 상황에서도 현금으로 돌려받을 수 있는 ‘직접 환급제’도 도입해달라고 주장하고 있다.

현재 OLED에 들어가는 핵심 재료의 사용량은 한국 기업들이 많다. 올해 삼성과 LG디스플레이가 전체의 절반 이상을 쓸 것으로 예상된다.

삼성
중국의 OLED 시장 공략 / 출처 : 뉴스1

그러나 출하량에서는 중국이 한국을 앞지를 가능성이 높다. 중국은 자국 브랜드뿐 아니라 애플에도 OLED를 공급하며 점유율을 늘리고 있다.

삼성디스플레이와 LG디스플레이도 투자를 계속하고 있다. 삼성은 새로운 공정에 4조 원을 들이고 있고, LG는 중국 공장을 판 돈으로 다시 투자를 준비하고 있다.

하지만 이런 투자가 계속되려면 정부의 뒷받침이 필요하다.

LCD처럼 OLED도 내줄지, 다시 도약할지는 정부와 기업이 함께 만드는 선택에 달려 있다.

Copyright ⓒ 이콘밍글.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금지

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