작년 소매판매액 21년 만에 최대 감소폭 기록
내구재부터 비내구재까지 전 분야 소비 위축
서비스 소비 둔화세도 뚜렷

“차도 안 사고, 옷도 안 사고, 식료품도 안 산다. 외환위기 때도 이런 적은 없었다.” 한국 경제가 전례 없는 소비 절벽을 마주하고 있다.
물가 상승과 경기 침체가 장기화되면서 소비 시장이 전방위적으로 얼어붙고 있는 가운데, 자영업자들의 한숨은 더욱 깊어지고 있다.
전 품목 소비 감소, 통계 작성 이래 처음
12일 통계청이 발표한 자료에 따르면, 2024년 1월부터 11월까지의 소매판매액 지수는 전년 동기 대비 2.1% 하락했다.

이는 2003년 무분별한 신용카드 발급·대출로 인한 신용카드 대란 이후 가장 큰 폭의 감소다.
특히 심각한 것은 소비 위축이 모든 품목에서 나타났다는 점이다. 자동차 판매가 6.5% 감소했고, 의복과 음식료품도 각각 3.2%, 2.5% 하락했다.
1995년 관련 통계 집계 이래 처음으로 내구재, 준내구재, 비내구재 모두 2년 연속 감소를 기록했다.
경기 회복 불확실성 가중

소비의 다른 한 축인 서비스 소비도 둔화세가 뚜렷하다. 작년 1~11월 서비스 생산은 전년 같은 기간보다 1.5% 증가하는 데 그쳤다.
이는 코로나19 엔데믹 이후 2022년 정점(6.9%)을 찍은 뒤 2023년 3.4%로 둔화된 데 이어 작년에는 절반 이하로 급감한 수치다.
정부도 경기 상황을 엄중히 보고 있다. 기획재정부는 작년 11월 전산업 생산이 전월 대비 0.4% 감소하면서 “회복 경로의 불확실성이 확대됐다”고 평가했다.
지난 11월 반도체 생산지수는 175.2로 역대 최고 수준을 기록했으나, 자동차 부품업체 파업 영향으로 자동차(-5.4%)와 전자부품(-4.7%) 생산이 감소하며 광공업 생산이 0.7% 줄었다.

작년 12월 30일 김귀범 기재부 경제분석과장은 ’11월 산업활동동향’ 관련 브리핑에서 올해 반도체 경기에 대해 “작년만큼 좋을 것 같지는 않다”며 “상반기까지 고사양 반도체 생산과 수출에는 큰 문제가 없을 것이나, 하반기는 아직 불확실성이 있다”고 전망했다.
건설 분야는 더욱 심각하다. 지난 11월 기준 7개월 연속 생산이 감소하며 1997년 통계 작성 이래 최장기간 감소세를 기록했다.
다만 김 과장은 “수주는 작년 2분기부터 좋아졌다”며 “GTX 등 토목공사를 앞당겨 진행하는 등 최대한 보강할 것”이라고 밝혔다.
또한 정부는 ‘2025년 경제정책방향’을 통해 기금운용계획 변경, 공공기관 추가 투자, 정책금융 등 가용재원을 총동원해 내수 진작에 나설 계획이라고 강조했다.

그러나 전문가들은 정부의 대책에도 불구하고 당분간 경기 회복이 쉽지 않을 것으로 내다보고 있다.
이화여대 석병훈 경제학과 교수는 “정치적 불확실성 확대로 소비자들은 지갑을 닫고 기업은 투자를 미루면서 내수는 점점 악화될 수 있다”고 경고했다.
현재 한국 경제는 고물가, 고금리, 정치적 불확실성이라는 삼중고에 직면해 있다. 전문가들은 단기 대책보다 물가 안정과 소비 심리 회복을 위한 중장기적 해법 마련이 시급하다고 지적했다.
질좋고 값싼 중국산 직구하니까
그렇게 될 수밖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