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작은 차가 대세다”… 국내 자동차 시장에서 확인된 중소형 차량의 ‘급부상 이유’

여성·고령층 증가… 실용적인 차가 뜬다
국내 중소형 자동차 인기
니로 EV/출처-기아

최근 국내 자동차 시장에서 중소형 차량의 인기가 상승하고 있다. 여성 운전자와 고령층의 차량 보유율 증가가 주요 요인으로 작용하면서, 실용성과 경제성을 갖춘 중소형 모델에 대한 수요가 빠르게 늘어나고 있다.

한국자동차연구원이 발표한 ‘인구·사회구조 변화와 국내 자동차 시장’ 보고서에 따르면, 2015년부터 2024년까지 여성의 1인당 자동차 등록 대수 증가율은 2.8%로, 남성(1.0%)보다 1.8%포인트 높았다. 특히 80대를 제외한 모든 연령대에서 여성의 차량 보유율이 꾸준히 증가하는 추세를 보였다.

임현진 한국자동차연구원 선임연구원은 “여성의 사회 진출이 활발해지면서 경제력이 향상되고, 이에 따라 차량 보유 의사가 더욱 강해지고 있다”며 “대형차보다는 실용적인 중소형 차량을 선호하는 경향이 뚜렷해질 것”이라고 분석했다.

고령 운전자 증가… 중소형 차량 선호도 높아져

60대 이상 고령층의 차량 보유율 증가도 중소형 차량 인기를 견인하는 요인으로 꼽힌다.

국내 중소형 자동차 인기
니로 EV/출처-기아

보고서에 따르면, 최근 10년간 전체 차량 등록 대수 증가율은 2.3%였지만, 60·70대 6.7%, 80대는 5.5%로 평균을 크게 웃돌았다.

반면 20대는 4.7%를 기록했으며 30대는 -0.4%로 감소세를 보였다. 40대(0.1%)와 50대(2.1%)도 증가율이 상대적으로 낮았다.

임 연구원은 “고령 인구가 증가하면서 자연스럽게 차량 보유율도 높아지고 있다”며 “이들은 대형차보다 운전이 편리하고 경제성이 높은 중소형 차량을 선호할 가능성이 크다”고 설명했다.

신체 기능이 예전만큼 활발하지 않은 만큼, 조작이 쉬운 차량이 선택의 중요한 기준이 되고 있다는 것이다.

국내 자동차 시장 여성·고령층 증가
캐스퍼/출처-현대차

자동차 시장의 변화… 중소형 차량의 미래

국내 자동차 시장은 점차 변화하는 인구 구조에 맞춰 새로운 방향성을 모색하고 있다.

지난해 말 기준 국내 총등록 대수는 전년 대비 1.3% 증가한 2630만 대를 기록했다. 등록 대수 증가율은 1990년 27.6%, 2000년 8.0%, 2010년 3.6%, 2020년 2.9%로 꾸준히 둔화하는 추세다.

이러한 흐름 속에서 자동차 업계는 중소형 차량의 성장을 주목하고 있다.

국내 고령 운전자 증가
미니 쿠퍼/출처-미니

서울의 경우, 자동차 등록 대수 증가율이 0.6%로 전국 평균(2.3%)보다 낮았다.

이에 대해 임 연구원은 “서울은 높은 생활비, 대중교통 인프라의 우수성 등으로 인해 개인의 차량 보유 증가 속도가 느린 편”이라며 “하지만 수도권을 포함한 전국적인 흐름에서는 중소형 차량의 인기가 지속될 것”이라고 전망했다.

국내 고령 운전자 증가
미니 쿠퍼/출처-미니

자동차 시장이 변화하는 가운데, 여성 운전자와 고령층의 증가로 인해 중소형 차량이 대세로 자리 잡을 가능성이 높아졌다.

대형차 중심이었던 국내 자동차 시장이 실용성과 경제성을 고려한 방향으로 전환되는 만큼, 앞으로 자동차 업계의 전략 변화가 요구되는 시점이다.

Copyright ⓒ 이콘밍글.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1

  1. 기사의 내용처럼 앞으로는 실용적이고 경제적인 차랑이 소비의 주축이 될 것이다
    일본처럼 아주 작은 차량은 아니더라도 지금의 차는 대부분 너무 크므로 좀 소형화 경량화가 필요할 듯

관심 집중 콘텐츠

메르세데스 벤츠 신형 CLA 롱바디 공개

866km 주행하는 車 “드디어 베일 벗었다”…벤츠, 럭셔리 세단 공개

더보기
토요타 bZ7 공개

전기차 트렌드 “우리도 질 수 없다”…토요타, 쿠페형 라인으로 무장한 신차 공개

더보기
미국 관세 영향, 한국 자동차 생산 31만대 감소

관세는 한국 산업에 직격탄 “결국 현실 된다”…美서 ‘무서운 경고’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