싼타페 페이스리프트 예상 렌더링 공개
현대차의 디자인 정체성, 싼타페에도 드디어 적용되나

풀체인지 출시 1년 만에 또다시 디자인 화두에 오른 SUV, 싼타페가 예상치 못한 모습으로 다시 주목받고 있다.
지난해 ‘MX5’라는 코드네임으로 돌아왔지만, 여전히 논란의 중심에 서 있는 디자인을 두고 이번에는 페이스리프트 예상 렌더링이 등장했다.
유튜브 채널 ‘뉴욕맘모스’를 통해 공개된 이번 이미지에는 현대차 플래그십 SUV인 팰리세이드의 디자인 요소들이 다수 적용되며, 싼타페가 사실상 전혀 다른 SUV로 재탄생한 듯한 인상을 주고 있다.
전면부 중심으로 이루어진 이번 변화는 브랜드 통일성과 실용성을 동시에 노린 시도라는 점에서 주목을 끌고 있다.
팰리세이드 얼굴 입은 싼타페
이번 렌더링에서 가장 큰 변화는 전면부 주간주행등(DRL)의 구조다.

기존 싼타페의 상징이자 논란의 중심이던 ‘H’형 패턴은 제거됐다. 그 자리를 대신한 것은 수직 픽셀 형태의 DRL로, 이는 팰리세이드나 신형 그랜저에서 선보였던 디자인과 유사하다.
DRL의 수를 기존 다섯 줄에서 네 줄로 조정해 차급 간 위계를 시각적으로 구분하는 디테일도 적용됐다.

헤드램프는 DRL 바로 옆으로 이동해 존재감을 강화했고 전면 그릴은 기존 박스형 형태에서 벗어나 넓고 안정된 디자인으로 변화했다. 이로써 싼타페는 SUV임에도 한층 날렵하고 세련된 인상을 주게 됐다.
심리스 호라이즌 램프는 그대로 유지되면서도 그릴 상단 테두리에 램프를 추가해 완성도를 높였다. 범퍼 라인 또한 정돈되면서 전체적으로 안정적인 전면부 구성을 이뤄냈다.
하단 공기흡입구와 액티브 에어 플랩의 면적은 줄었고 복잡했던 범퍼 구조는 깔끔하게 재구성됐다. 그 결과 차량의 전면은 보다 단순하면서도 고급스러운 느낌을 준다.
후면부 디자인은 ‘미지수’
렌더링에서 후면부는 다뤄지지 않았지만, 이는 또 다른 관심의 불씨를 키웠다. 뉴욕맘모스는 후속 영상에서 후면부 렌더링도 공개할 예정이라 밝혔고 “불호 의견이 가장 많았던 부분이 후면이기 때문에 가장 큰 변화가 예상된다”고 언급했다.

실제로 기존 MX5의 디자인 중 가장 많은 비판을 받은 부분이 후면이었다.
낮게 배치된 테일램프, 각진 차체에 어울리지 않는 디테일 등은 소비자들 사이에서 “리어만 바뀌면 괜찮을 텐데”라는 반응을 끌어냈다. 이번 렌더링이 전면부 중심이었던 만큼, 후면부에 대한 변화 기대치는 더욱 높아지고 있는 상황이다.
측면 디자인은 비교적 변화 폭이 작다. 휠 아치 클래딩은 곡선형으로 다듬어져 투박함이 줄었다. 실루엣 역시 이전보다 부드럽게 정돈되며 전체적인 일체감을 높였다.
출시 시점은 2026년 하반기 예상
이번 예상도는 단순한 상상에 그치지 않고, 현대차 SUV 라인업의 일관된 디자인 흐름을 고려했다는 점에서 의미가 깊다.
최근 아이오닉 시리즈, 넥쏘, 팰리세이드 등 현대차의 주요 모델들은 디자인 아이덴티티 확보에 주력해 왔다. 그러나 싼타페는 이 흐름에서 다소 동떨어져 있다는 평가를 받아왔다.

이번 변화는 싼타페 역시 현대차 SUV 라인업 내에서 하나의 정체성을 확립하려는 시도로 해석될 수 있다.
특히 그릴과 램프의 통일감 있는 구성은 시각적인 브랜드 일관성을 강화하고, 싼타페의 SUV로서의 위치를 재정립하는 의미를 지닌다.
다만 이 렌더링이 실제 양산 모델에 얼마나 반영될지는 아직 불확실하다. 현대차 측은 현재까지 공식적인 입장을 밝히지 않았고, 실제 페이스리프트 출시 시점도 2026년 하반기 혹은 2027년 초로 예상될 뿐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이번 예상 렌더링은 소비자들이 어떤 방향의 디자인을 선호하는지 분명하게 보여주는 신호로 받아들여지고 있다.

디자인이 성패를 가르는 시대, 싼타페의 다음 모습은 그 자체로 현대차 SUV 전략의 시험대가 될 전망이다.
제니시스 대박입니다. 꼭 타보세요.
올뉴 제니시스 ,현대까지, 디자인이 점점 개발되네요. 화이팅!
현대는 역시 개발 1위인것 같아요.
현대는 역시 개발 1위인것 같아요. 제발 날는 자동차 만들어 주시면 좋겠어요. 그럼 안녕히게세요.
현대는 역시 개발 1위인것 같아요. 제발 날는 자동차 만들어 주시면 좋겠어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