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 세계 충격 안기더니” 자동차에 탑재한다… 한발 빠른 결정, 판도 바꾸나

바오준, 업계 최초로 딥시크 AI 탑재 선언
바오준 샹징 딥시크 AI 탑재
샹징/출처-바오준

중국 자동차 산업이 인공지능(AI) 기술 도입에 박차를 가하고 있는 가운데, 제너럴 모터스(GM)와 상하이자동차(SAIC)의 합작 브랜드 바오준(Baojun)이 새로운 변화를 이끌고 있다.

바오준은 자사의 플래그십 세단 ‘샹징(Xiangjing)’에 중국의 AI 모델인 딥시크(DeepSeek)를 탑재한다고 발표했다. 이는 자동차 업계에서 딥시크가 처음으로 적용된 사례로, 시장의 이목이 집중되고 있다.

바오준은 이번 AI 기술 도입이 단순한 기능 추가를 넘어 스마트 모빌리티의 새로운 기준을 제시하는 계기가 될 것이라고 강조했다. 특히 OTA(Over-The-Air) 업데이트를 통한 기존 차량 대상 딥시크 적용 계획을 밝혀, 향후 기술 확산의 가능성을 열어두었다.

바오준 샹징, EV 및 PHEV로 운영

샹징은 전기차(EV)와 플러그인 하이브리드(PHEV) 두 가지 모델로 출시될 예정이다.

바오준 샹징 제원
샹징/출처-바오준

전기차 버전은 249마력을 발휘하는 전기모터를 탑재해 1회 충전으로 600km 주행이 가능할 것으로 예상된다.

PHEV 모델은 1.5리터 가솔린 터보 엔진과 전기모터 조합으로 141마력을 내며, 20.5kWh 용량의 인산철 배터리를 장착해 전기 모드만으로 101km를 주행할 수 있다.

디자인은 공기역학적 요소를 강조한 쿠페형 실루엣을 채택했다. 저저항 휠과 수납식 도어 핸들을 적용해 효율성 뿐만 아니라 세련미까지 갖췄다.

실내는 대형 인포테인먼트 시스템과 무선 충전 패드 등 첨단 기능이 더해질 예정이다.

바오준 샹징 제원
샹징/출처-바오준

딥시크 AI, 차량 내 스마트 파트너로 자리 잡을까?

딥시크 AI는 바오준의 자체 음성인식 기능과 결합해 작동한다.

기본적인 내비게이션, 공조장치 조작과 같은 단순 명령은 기존 음성인식 시스템이 처리하고, 복잡한 질문이나 논리적인 사고가 필요한 요청은 딥시크가 담당하는 방식이다.

이는 기존 차량 AI 시스템과 차별화된 점으로, 자동차가 단순한 운송 수단을 넘어 지능적인 동반자로 자리 잡을 가능성을 보여준다.

업계 전문가들은 딥시크 AI가 향후 자율주행 학습에도 활용될 수 있다는 점에서 주목하고 있다. 하지만 이러한 기술 도입에 필요한 방대한 데이터의 질과 신뢰성 문제는 여전히 해결해야 할 과제다.

바오준 샹징 주행거리
샹징/출처-바오준

치열해지는 AI 자동차 시장 경쟁

바오준의 이번 발표는 중국 자동차 시장 전반에도 큰 파장을 일으키고 있다.

지리자동차, 지커, 란투, 동펑, 즈지 등 경쟁업체들도 딥시크 AI 도입 계획을 속속 발표하며, 인공지능 차량 시장에서의 선점 경쟁이 본격화되고 있다.

바오준 샹징 딥시크 AI 탑재
샹징/출처-바오준

중국 자동차 산업은 AI 기술을 빠르게 수용하는 한편, 기술적 신뢰성과 안전성 문제를 동시에 해결해야 하는 과제를 안고 있다.

딥시크 AI가 실질적인 혁신을 이끌어낼지, 아니면 단순한 마케팅 요소로 남을지는 앞으로의 성과에 달려 있다.

Copyright ⓒ 이콘밍글.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1

  1. 딥시크 AI를 자동차에 적용시키면 너무 좋을것 같아요 국산차도 발빠르게 적용해주면 좋겠습니다

관심 집중 콘텐츠

토요타 C-HR+ 가격

하이브리드 시장 1등 “만족 못 해”… 이제는 콤팩트 SUV로 전기차 넘본다

더보기
르노 신형 메간 E-Tech 공개

“그랑 콜레오스가 끝이 아니었다”…르노, 더 스포티해진 SUV 공개

더보기
BMW iX JD파워 소비자 만족도 1위

“디자인보다 중요한 게 있었다”… 논란의 전기 SUV, 소비자 평가 최고점 ‘반전’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