트럼프, 구리 수입 규제 시사…
“국가 안보 위한 조치”

미국 제조업계가 또 한 번 긴장하고 있다.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이 철강과 알루미늄에 이어 구리에도 고율의 관세 부과를 시사하면서 산업계 전반에 큰 파장이 예상된다.
트럼프 대통령은 지난 25일(현지 시간) 백악관에서 무역확장법 232조에 따라 구리 수입이 국가 안보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도록 행정명령을 내렸다.
이에 따라 미국이 구리에도 고율의 관세를 부과할 가능성이 커졌다.
무역확장법 232조는 특정 수입품이 국가 안보를 위협한다고 판단될 경우, 긴급하게 수입을 제한하거나 관세를 부과할 수 있도록 규정하고 있다.

트럼프 대통령은 이를 근거로 철강과 알루미늄에 각각 25%의 관세를 부과한 바 있다.
백악관 고위 관계자는 “구리는 자동차, 항공기, 군사 장비뿐만 아니라 인공지능(AI) 및 신기술 개발에도 필수적인 자원”이라며 “중국을 비롯한 국가들의 불공정 무역 관행이 미국의 구리 산업을 위협하고 있다”고 강조했다.
미국 제조업계 “비용 부담 가중될 것” 우려
이번 조치로 인해 가장 큰 타격을 받을 업계는 구리를 주요 원재료로 사용하는 제조업체들이다.

건설, 자동차, 전자 산업을 비롯한 여러 분야에서 구리는 필수 자재로 쓰인다.
하지만 미국 내 구리 생산량은 한정적이며, 구리 수요의 절반 이상을 칠레, 캐나다, 멕시코 등에서 수입하고 있는 실정이다.
월스트리트저널(WSJ)은 “구리 관세가 부과될 경우, 제조업체들은 필수 원자재 확보에 어려움을 겪을 것”이라며 “결국 소비자 가격 상승으로 이어질 가능성이 크다”고 분석했다.
관세 부과 가능성이 제기되면서 미국 내 구리 가격은 급등세를 보이고 있다.

뉴욕상품거래소(COMEX)에서 거래되는 구리 가격은 런던금속거래소(LME) 대비 1톤당 800달러(약 117만 원) 이상 높아졌다.
이에 따라 남미와 아시아의 거래업체들이 가격 차익을 노리고 미국으로 구리를 수출하려는 움직임도 감지되고 있다.
트럼프 대통령의 연이은 관세 정책으로 인해 제조업을 기반으로 하는 기업들의 부담이 가중될 것으로 보인다.
한 자동차 부품업체 관계자는 “철강과 알루미늄 관세로 인해 이미 원자재 비용이 증가한 상황에서 구리까지 영향을 받으면 가격 경쟁력이 더욱 떨어질 것”이라고 우려했다.

반면, 미국 내 구리 생산업계는 이번 조치를 환영하는 분위기다.
미국 구리협회는 “국내 생산업체들이 경쟁력을 갖출 수 있는 기회가 될 것”이라고 평가했다.
관세 정책이 미국 내 산업 보호로 이어질지, 오히려 경제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지 주목된다.
지구상에는 미국만있는게 아니다
톤당 1억원으로 올려야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