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돈 빌리기 더 어려워졌다”…
‘서민의 지갑’ 옥죄는 삼중고

급전이 필요했던 A 씨는 최근 급한 대로 카드사 대출을 이용했지만, 요새 고민이 이만저만이 아니다.
마지막 대출 창구라고 생각했지만, 이제는 그것마저도 막히는 것 같기 때문이다.
카드론 금리는 치솟고, 정부 지원 대출은 줄어드는 가운데, 카드사들의 대환대출까지 위험 수위에 도달하면서 서민들의 자금난이 심화되고 있다.
특히 내년에는 정부의 서민금융 지원마저 축소될 것으로 보여 ‘돈 빌리기’가 더욱 힘들어질 전망이다.

지난 10월 카드사 9개 사의 카드론 잔액은 42조 2201억 원으로 역대 최대치를 기록했다.
이는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3892억 원 증가한 수치다. 더욱 우려되는 것은 카드론 평균 금리다.
7개 전업 카드사의 11월 말 기준 평균 금리는 14.60%로 전년 대비 상승했으며, 중저신용자의 경우 평균 17.50%의 고금리를 감당해야 한다.
카드사별로는 우리카드가 15.39%, 롯데카드 14.93%, 현대카드 14.48% 등으로 나타났다.
대환대출도 위험수위, 정부 지원도 ‘먹구름’

카드사들의 대환대출 잔액도 1조 6191억 원으로 전년 대비 11% 늘었다.
대환대출은 카드론을 연체한 고객을 재평가해 다시 대출을 내주는 것으로, 부실화 위험이 큰 것으로 평가된다.
특히 자산 규모가 작은 카드사들의 대환대출 증가세가 두드러진다. 롯데카드는 전년 대비 215.2% 급증했고, 우리카드와 현대카드도 각각 25.6%, 21.8% 증가했다.
서지용 상명대 교수는 “카드사들이 수익성 악화를 만회하기 위해 위험자산 비중을 늘리고 있다”며 우려를 표명했다.

여기에 최저 신용자를 위한 정부의 ‘햇살론15’ 지원도 축소될 전망이다.
2025년 예산이 900억 원으로 확정되면서 연간 지원 규모가 1조 원에서 6000억 원대로 줄어들게 됐다.
햇살론15는 연 소득 3500만 원 이하이거나 4500만 원 아래 최저 신용자들이 15.9% 금리로 최대 1400만 원까지 대출받을 수 있는 제도다.
국회예산정책처는 “저소득·저신용 서민들이 제도권 금융을 이용하지 못하는 상황이 올 수 있다”고 경고했다.

전문가들은 내년 서민들의 자금난이 더욱 심화될 것으로 전망한다.
카드사들의 수수료 수익이 낮아지면서 카드론 의존도는 더 높아질 것으로 보이며, 정치적 혼란으로 금융당국의 대출 규제 완화도 쉽지 않을 것으로 예상된다.
국회에서는 추가경정예산을 통한 서민금융 지원 확대를 검토하고 있지만, 실현 여부는 불투명한 상황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