외국인 가사관리사 시범사업 1년 연장됐지만 요금 20% 인상
이용가정 41%가 강남3구… 월 소득 900만 원 이상이 73%
서울시, 중위소득 180% 이하 가정에 바우처 지원 나서

지난 6개월간 운영한 정부의 외국인 가사관리사 시범사업이 1년 더 연장됐지만, 요금 인상 소식에 도입 초기부터 제기됐던 비용 부담 논란이 다시 불거지고 있다.
이용가정의 73%가 월 소득 900만원 이상이고 강남 3구 거주자가 41%에 달해, 서민들의 육아 부담 해소라는 당초 취지가 퇴색되고 있다는 지적이다.
퇴직금·운영비 반영… 시간당 1만 6800원으로 인상
정부는 14일 국무조정실 주재로 외국인력정책위원회를 열고 서울 지역 외국인 가사관리사 시범사업을 1년 더 연장하기로 했다.
당초 이달 말 종료 예정이었던 사업은 3월부터 내년 2월 말까지 이어진다. 필리핀 가사관리사들의 국내 체류 기간도 2027년 7월 말까지 연장된다.

하지만 3월부터는 이용 요금이 크게 오른다. 시간당 요금은 현재 1만 3940원에서 1만 6800원으로 20.5% 인상된다.
주 40시간 이용 시 월 이용요금은 242만 5560원에서 292만 3200원으로 49만 7640원이나 오르게 된다. 정부는 퇴직금과 운영비 등이 새롭게 반영됐다고 설명했다.
이용가정 73%가 월 소득 900만 원 이상…”서민 지원 취지 무색”
이미 높은 이용요금으로 서민들의 접근이 어려웠던 상황에서 추가 인상까지 결정되며 정부가 내세운 ‘육아 부담 해소’ 취지가 무색해지고 있다.

실제로 지난해 11월 고용노동부가 실시한 설문조사 결과를 보면, 시범사업 이용가정 중 73.2%가 부부합산 월 소득 900만 원 이상이었다.
특히 1800만 원 이상인 가정도 23.2%에 달했다. 거주지역은 강남구(19.64%), 서초구(13.39%), 송파구(8.04%) 등 이른바 ‘강남 3구’가 41%를 차지했다.
수요 부족에 본사업 확대도 ‘난항’
한편 정부는 시범사업 만족도가 높다는 점을 들어 사업 확대 가능성을 내비쳤지만, 본사업으로의 확대는 쉽지 않을 전망이다.

권창준 노동부 기획조정실장은 “본사업 확대 방향을 놓고 관계부처 간 논의가 필요하다”며 “구체적인 일정을 언급하기는 어렵다”고 밝혔다.
또한 지난해 말 고용부가 전국 지자체를 대상으로 조사한 결과 서울·부산·세종 단 3곳에서만 수요가 확인됐다.
이런 가운데 서울시는 3월부터 서울형 가사서비스 이용 대상에 외국인 가사관리사 사업을 포함한다.
서울형 가사서비스는 중위소득 180% 이하이면서 12세 이하 자녀가 있는 임산부·맞벌이·다자녀 가정을 대상으로 연 70만 원 상당의 바우처를 지원하는 사업이다.

하지만 연간 70 만원 지원으로는 월 300만 원에 육박하는 서비스 이용료를 감당하기에는 역부족이라는 지적이 나온다.
정부가 표방한 ‘육아 부담 해소’라는 취지를 살리기 위해 보다 현실적인 지원 방안이 필요한 시점이다.
다른 나라는 100만원에 쓰는 도우미 200만원주고 부담되니 세금으로 지원한다?? 오세훈 이 놈도 포퓰리즘 쩐다…
유아 어린이집 활성화 및 직장 조기퇴그노 검토하여 부모의 부담감을 줄여라.
당연히 임금을 삭감해야한다
인건비 싼 외인 수입하면 우리나라 근로자는 어쩌란 말이냐? 외인 퇴출하고 국내 가사도우미 고용하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