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 의존도 낮춰라”…
한국 기업 ‘탈중국’ 가속화 필요
“이렇게 된 이상 중국 중심의 공급망에서 벗어나는 게 최우선입니다.”
최근 ‘탈중국’이 한국의 시급한 과제로 떠오르면서 사람들의 시선을 모으고 있다.
중국 시장은 최근 몇 년간 급격히 변화하고 있다. 중국 정부의 환경 규제 강화와 생산비 증가, 기술 이전 요구 등은 한국 기업들에게 점차 큰 부담이 되고 있는 상황이다.
여기에 미중 갈등이 장기화되며 관세와 제재 위험이 늘어난 상황에서, 중국 의존도가 높은 기업일수록 큰 타격을 받을 가능성이 커지고 있다.
한국무역협회에 따르면 2024년 3분기 기준 한국의 대중국 수출 비중은 19.2%로 줄었지만, 여전히 높은 수준을 유지하고 있다.
반면 일본은 2018년 이후 대중국 수출 비중을 꾸준히 낮춰 2024년에는 17.5%로 축소했다.
일본은 탈중국을 단순한 선택이 아니라 필수 전략으로 받아들였다. 일본 정부는 리쇼어링(생산 공장의 본국 회귀)을 장려하며 약 5000억 엔의 지원금을 투입했다.
기업들이 아세안 지역으로 생산 거점을 이전할 경우 비용의 최대 3분의 2를 지원하는 등 대규모 정책적 지원을 아끼지 않았다.
그 결과 일본의 대중국 중간재 수출 비중은 2024년 52.5%로 줄었다. 반면, 한국의 대중국 수출에서 중간재가 차지하는 비중은 2024년 85.7%로 여전히 절대적이다.
한국, 중간재 의존 줄이고 다변화 시급
현재 한국의 대중국 수출은 여전히 중간재에 크게 의존하는 만큼, 중국 내 기술력 향상과 경쟁 심화로 인해 가격 경쟁력에서 밀리고 있다는 점에서 리스크가 크다.
또한, 미중 갈등이 심화되면서 중국 내 생산 시설을 운영하는 기업들이 관세와 제재 위험에 노출되고 있다.
최근 미국은 중국산 제품에 추가 관세를 부과할 가능성을 시사하며, 이에 따라 한국 기업들도 간접적인 타격을 받을 수 있다.
중국 시장의 성장 둔화도 탈중국 필요성을 높이는 이유 중 하나다. 중국의 경제 성장률은 점차 둔화되고 있으며, 소비 시장의 성장세도 예전만 못하다.
이런 상황에서 중국 의존도가 높은 기업일수록 새로운 시장을 찾지 못하면 매출 감소와 수익성 악화로 이어질 가능성이 크다.
전문가들은 한국이 일본처럼 선제적으로 탈중국 전략을 추진해야 한다고 조언한다.
또한 정부의 정책적 지원도 필수적이라는 목소리가 높아지고 있다.
일본 정부가 리쇼어링을 위해 대규모 지원금을 투입한 것처럼, 한국 정부도 기업들이 새로운 시장을 개척할 수 있도록 세제 혜택과 금융 지원을 강화해야 한다.
저번 트럼프 정권때부터 탈중국 한다던데 아직도 탈중국 다 못했나요?
이제서야 정신들을 좀 차리는구만 ㅉㅉㅉ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