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 세계 입맛 사로잡더니 “10년 만에 2배 뛰었다”… 과연 올해는

글로벌 시장서 부동의 강자로 자리매김
라면·건강식품·조미김 3대 효자 상품
정부, 올해 총 140억 달러 목표 세워
K푸드
K푸드 10년간 2배 성장 / 출처: 연합뉴스

한국 음식의 매력적인 풍미가 지구 반대편까지 사로잡으며 K-푸드의 글로벌 영향력이 날로 커지고 있다.

해외 소비자들의 한국 식품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는 가운데, 한류 음식 수출은 지속적인 성장세를 보이며 국가 경제의 새로운 동력으로 자리 잡고 있다.

10년 만에 두 배로 성장한 K-푸드 시장

대한상공회의소가 6일 발표한 보고서에 따르면, 지난해 K-푸드 수출액은 70억 2000만 달러(약 10조 1700억 원)를 기록했다.

K푸드
K푸드 10년간 2배 성장 / 출처: 연합뉴스

이는 2015년(35억 1000만 달러) 대비 두 배 증가한 수치다. 특히 주목할 점은 성장 속도가 점차 가속화되고 있다는 것이다.

최근 10년간 K-푸드의 연평균 수출액 성장률은 8.0%였지만, 전반기(2015~2019년)의 5.9%에서 후반기(2020~2024년)에는 9.0%로 높아졌다.

이러한 성장세는 코로나19 이후 건강에 대한 관심 증가와 한류 콘텐츠의 세계적 인기에 힘입은 것으로 분석된다.

넷플릭스, 유튜브 등 글로벌 플랫폼을 통해 한국 음식문화가 널리 알려지면서 K-푸드에 대한 인지도와 접근성이 크게 향상되었다.

K푸드
K푸드 10년간 2배 성장 / 출처: 뉴스1

또한 미국, 유럽 등 주요 국가의 대형 유통 매장에 한국 식품 코너가 확대되면서 일반 소비자들의 구매 기회도 늘어났다.

K-푸드의 성장 동력, 3대 효자 상품

전 세계를 사로잡은 K-푸드 열풍의 중심에는 라면, 건강식품, 조미김이 있다. 라면은 불닭볶음면 등의 세계적 인기로 지난해 13억 6000만 달러의 수출액을 기록하며 1위를 차지했고, 10년간 연평균 20.1%의 놀라운 성장률을 보였다.

건강식품과 조미김 역시 각각 11.9%와 11.3%의 연평균 성장률을 보이며 K-푸드의 성장을 견인했다.

K푸드
K푸드 10년간 2배 성장 / 출처: 연합뉴스

특히 ‘검은 반도체’로 불리는 김은 코로나19 이후 건강식에 대한 관심 증가와 함께 서양인들에게 인기를 끌고 있다.

올해 수출 목표와 정부의 대응 전략

이러한 성과를 바탕으로 농림축산식품부는 올해 K-푸드 수출 목표를 더욱 높게 설정했다.

농식품 105억 달러, 농산업 35억 달러 등 지난해보다 8.1% 늘어난 총 140억 달러(약 20조 원) 수출을 계획하고 있다.

K푸드
K푸드 10년간 2배 성장 / 출처: 연합뉴스

이 목표 달성을 위해 정부는 대외 리스크 대응, 수출 시장·품목 다변화, 글로벌 트렌드 연계 마케팅, 수출 경쟁력 강화 등 4대 전략을 적극 추진한다.

특히 트럼프 미국 대통령의 보호무역주의 강화에 대응하기 위해 환변동보험 확대, 물류 지원 강화, 통관·검역 컨설팅 등 다양한 지원책을 마련했다. 또한 중동, 중남미, 인도 등 신시장 개척과 유럽 진출 확대도 추진한다.

송미령 농식품부 장관은 “전 세계 소비자의 K-푸드에 대한 인지도와 신뢰도를 바탕으로 시장과 품목 다변화, 고급화에 최선을 다하겠다”고 밝혔다.

한류 열풍에 힘입어 지난 10년간 두 배 성장한 K-푸드의 선전이 올해도 이어질 수 있을지 주목된다.

Copyright ⓒ 이콘밍글.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6

관심 집중 콘텐츠

조선업

“전 세계 줄지어 기다리더니”… 1년 만에 제대로 ‘돈벼락’ 맞았다

더보기
에너지고속도로

“바다 밑에 ‘대형 황금알’이 있다”… 11조 ‘효자 사업’에 업계 ‘기대감 솔솔’

더보기
파리 식당가 와인 바꿔치기

한국인 사랑 듬뿍 받는 여행지인데 “환상이 깨졌다”…‘발칵’ 뒤집힌 이유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