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해 국내 신차 등록 대수
2013년 이후 가장 낮은
약 164만 대 전망
국내 신차 등록 대수가 11년 만에 최저치를 기록하며 시장은 깊은 침체에 빠졌다. 고금리와 경기 침체, 전기차의 수요 정체까지 복합적 악재가 자동차 업계를 강타했다.
11년 만의 최저 기록, 내수 침체의 현실
올해 국내 신차 등록 대수가 약 164만 대로 예상되며, 이는 2013년 이후 가장 낮은 수준이다.
한국자동차모빌리티산업협회(KAMA)에 따르면, 올해 1~11월 신차 등록 대수는 149만 8331대로 전년 동기 대비 6.1% 감소했다.
가장 큰 감소폭은 휘발유와 경유를 사용하는 내연기관차가 기록했다. 휘발유차는 전년 대비 18.5% 줄어든 62만 7835대, 경유차는 무려 57% 급감한 11만 7931대를 기록했다. 두 차종의 감소량만 약 30만 대에 달한다.
친환경차는 성장세를 보였지만 시장을 견인하기엔 역부족이었다. 하이브리드차는 등록 대수가 역대 최고치인 45만 5468대를 기록했으나 증가폭은 28.8%에 그쳤다.
전기차는 오히려 전년 대비 7.3% 감소하며 13만 8921대에 머물렀다.
고금리와 소비 위축, 자동차 시장에 ‘날벼락’
내수 침체의 가장 큰 원인으로는 고금리 기조와 소비심리 위축이 꼽힌다. 높은 가계부채와 함께 고금리가 지속되며 소비자들의 신차 구매 욕구를 꺾었다.
김필수 대림대 미래자동차학부 교수는 “한국은 다른 선진국보다 경기침체의 영향을 더 크게 받는 구조로, 고금리 부담이 신차 구매 감소의 핵심 원인”이라고 분석했다.
여기에 하반기 자동차 업계의 임금 및 단체협상으로 인한 생산 차질이 더해져 신차 공급에도 일부 영향을 미쳤다.
경기 불확실성이 고조되며 내연기관차의 수요가 크게 줄었지만, 그 공백을 메워야 할 친환경차는 성장이 더뎌 전체 등록 대수가 감소한 상황이다.
코로나19 이후의 반전, 왜 이렇게 됐나?
국내 신차 등록 대수는 2015년 183만 대를 돌파하며 꾸준한 성장세를 이어갔다. 심지어 2020년 코로나19 팬데믹 상황에서도 190만 대를 넘어섰다.
그러나 2021년부터는 감소세로 전환되며 2023년까지 내리막길을 걸었다.
특히 올해는 경기 침체와 소비 위축, 전기차 시장의 일시적 정체라는 삼중고가 시장을 덮쳤다.
전기차의 경우 글로벌적으로도 비슷한 현상이 나타났으나, 국내에서는 내연기관차 수요 급감과 맞물리며 그 영향이 더욱 도드라졌다.
위기를 기회로 바꿀 전략 필요
2024년은 자동차 시장에 있어 성장보다 변화를 요구하는 한 해였다. 내연기관차에서 친환경차로의 전환이 가속화되고 있지만, 이 과정에서 발생하는 수요 공백과 전환의 어려움이 여실히 드러났다.
내년에는 소비심리 개선과 하이브리드차의 성장에 힘입어 등록 대수가 소폭 반등할 것으로 전망된다. 그러나 고금리와 경기 침체라는 구조적 문제를 해결하지 않는 한, 자동차 시장의 반등은 단기적일 수밖에 없다.
전문가들은 기술 혁신과 더불어 소비자 부담을 줄이는 다양한 금융 프로그램, 전기차 충전 인프라 확충 등 전반적인 환경 개선이 필요하다고 조언한다. 자동차 시장이 새로운 도약의 발판을 마련할 수 있을지 주목된다.
법인 연두색 번호판 없애야
비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