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립대 70% 등록금 인상 단행
교육비 전방위 인상에 물가 ‘들썩’
내년에도 ‘도미노 인상’ 우려 확산

“등록금 인상은 어쩔 수 없었습니다.”
재정난을 호소하던 대학들이 결국 칼을 빼 들었다.
정부의 등록금 동결 정책에 17년간 협조해온 대학들이 올해 대거 인상 대열에 합류했고, 그 여파는 고스란히 국민의 물가 부담으로 이어졌다.
교육 물가는 금융위기 직후인 2009년 이후 가장 큰 폭으로 뛰었다. 특히 대학 등록금은 다른 교육비 전반에도 연쇄적으로 영향을 미치고 있다.

유치원비, 학원비, 이러닝 이용료까지 일제히 오르면서 교육비 부담이 눈덩이처럼 불어나는 모양새다.
통계청 국가통계포털에 따르면 지난 3월 교육 물가는 1년 전보다 2.9% 올랐다. 이는 2009년 2월(4.8%) 이후 16년 1개월 만의 최대 상승폭이다.
가장 큰 원인은 사립대 등록금 인상이다. 한국사립대학총장협의회 집계에 따르면 4년제 사립대 151곳 중 120곳, 약 79.5%가 올해 등록금을 올렸다.
대학원과 전문대 등록금도 함께 올랐다. 사립대학원은 3.4%, 국공립대학원은 2.3%, 전문대는 3.9% 올랐다.
등록금 인상 ‘도미노’ 현실화… 내년에도 교육비 더 오른다?

가장 큰 우려는 아직 등록금을 올리지 않은 대학들, 특히 국공립대를 중심으로 내년에도 인상이 이어질 수 있다는 점이다.
올해 등록금을 동결한 대학들은 전체 4년제 대학의 약 30%에 해당한다.
하지만 이들 역시 내년에는 인상 대열에 합류할 가능성이 높다. 교육부 내부에서도 등록금 동결을 유도할 뾰족한 정책 수단이 부족하다는 지적이 나온다.
또한 윤석열 전 대통령 파면에 따라 6월 조기 대선 후 출범할 새 정부의 고등교육 재정 정책 방향도 변수로 떠오르고 있다.

새 정부가 재정 지원 확대에 나선다면 등록금 인상 흐름에 제동이 걸릴 가능성도 있다.
대학교 등록금 인상은 다른 교육 서비스에도 파급 효과를 미쳤다. 유치원 납입금은 4.3% 오르며 2016년 이후 가장 큰 상승률을 기록했다.
온라인 학습도 예외는 아니다. 가정학습지는 지난해 8월 이후 11.1%의 상승률을 유지 중이며, 이러닝 이용료는 3개월 연속 9.4% 상승했다. 관련 통계가 시작된 이후 가장 높은 수준이다.
학원비 역시 오름세를 보였다. 초중고 학생 학원비는 1~2%대였지만, 음악(2.2%), 미술(2.9%), 운동(3.9%) 등 특기 적성 교육비는 상대적으로 큰 폭으로 올랐다.

통계청 관계자는 “등록금 인상 효과는 내년 2월까지 매달 소비자물가지수에 반영될 예정”이라며 “2학기에 추가 인상이 이뤄질 경우 물가 상승 압력은 더 커질 수 있다”고 내다봤다.
전국 사립대 등록금은 국가장학금 등 각종 장학금 제외하면 일인당 연간 350만원 정도다. 중고등생 학원 수학 한과목 수강료 수준이다… 이런기사보면 이해가 안됨.
유치원비 학원비 등 사교육비 오르는게 대학 등록금 오르는 것과 무슨 상관인지? 기자의 의도는 무엇인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