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직 창창한 나이인데 “이대로는 안 된다”… ‘발 동동’ 구르는 5060

자식 키우고 부모 부양하느라
벌써 정년 앞둔 5060
5060
정년 연장 논의 / 출처 : 게티이미지뱅크 (이해를 돕기 위한 이미지)

정년퇴직을 앞둔 A 씨는 요새 걱정이 이만저만이 아니다.

회사에 근무한 지도 20년이 훌쩍 넘었고 벌써 정년퇴직을 해야 할 나이가 됐지만, 퇴직을 한 이후가 문제다.

아직 완벽하게 경제적 독립을 이루지 못한 자식들 뒷바라지도 해줘야 하고, 부모님 부양도 해야 하기 때문이다.

노후 준비라고는 조금도 못 했는데 벌써 정년퇴직이 눈앞까지 다가와서 고민이라는 A 씨.

5060
정년 연장 논의 / 출처 : 게티이미지뱅크 (이해를 돕기 위한 이미지)

고령화 사회로 진입하면서 정부와 지방자치단체를 중심으로 정년 연장 논의가 점차 확산하고 있다.

정년 연장은 민간 부문에서도 공감대를 형성하고 있다.

부산상공회의소의 조사에 따르면 부산 지역 기업의 77%가 정년 연장에 찬성했으며, 그 이유로 기대수명 증가와 고령 근로자의 경제활동 참여 필요성이 가장 큰 비중을 차지했다.

현대차는 생산직 기술직의 정년퇴직 후 2년간 촉탁직으로 재고용하는 방식으로 정년을 실질적으로 연장하고 있으며, 이를 통해 기술직 인력의 전문성과 고용 안정성을 유지하려는 의도를 나타냈다.

이제는 피할 수 없는 정년 연장

5060
정년 연장 논의 / 출처 : 게티이미지뱅크 (이해를 돕기 위한 이미지)

재계와 기업들은 숙련 인력 부족 문제와 인구 고령화에 따라 정년 연장을 피할 수 없는 과제로 보고 있다.

이러한 가운데, 사회적 대화 기구인 경제사회노동위원회(경사노위)는 ‘계속고용위원회’를 통해 정년 연장과 관련된 논의를 본격적으로 추진하고 있다.

노동계는 법정 정년을 65세로 상향하되, 임금 조정은 개별 사업장에서 노사 합의를 통해 결정하자는 입장이다. 경영계는 기업 상황에 맞춰 자율적으로 재고용 방식을 택할 수 있도록 하자는 입장이다.

실제로 정년 연장에 나선 곳도 있다. 행정안전부와 대구시는 최근 공무직 정년을 기존 60세에서 최대 65세까지 늘리는 방안을 추진하며 고령 근로자의 고용 안정성을 높이는 데 나섰다.

5060
정년 연장 논의 / 출처 : 연합뉴스

대구시는 특히 시설 관리와 상수도 검침 등 업무를 맡은 412명의 공무직 근로자 정년을 2025년부터 단계적으로 연장해 2029년까지 65세로 상향하기로 했다.

이와 더불어 미성년 자녀 수에 따라 최대 10년까지 추가 고용이 가능한 정책도 도입해 가정에 따라 더 오랜 근로 기회를 제공할 방침이다.

정년 연장은 근로자의 경제적 안정뿐만 아니라 사회적 돌봄 비용의 증가를 억제하는 효과도 있다.

한국은행은 베이비부머 세대의 본격적인 은퇴가 향후 경제 성장률을 저하시킬 수 있다고 전망한 바 있으며, 이들이 계속 일할 수 있는 여건이 조성되면 경제성장률 하락 폭을 완화할 수 있다고 분석했다.

Copyright ⓒ 이콘밍글.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12

관심 집중 콘텐츠

스타링크

전 세계 뒤덮더니 “드디어 한국에서도 쓸 수 있다”…혁신 서비스 진출 임박

더보기
한국은행

결정 내렸지만 “여전히 걱정은 산더미”… 한국은행의 선택에 시장 ‘긴장’

더보기
어묵

요즘이 딱 제철인데 “이런 문제 있었다고?”…믿었던 최애간식의 ‘반전’

더보기